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그 일이 일어날 확률은 무조건 100% 아니냐고? 당신 말이 맞네. 그렇지만 많은 세계 해석을 지지하더라도 ‘고양이가 살아있을 확률은 1/2’이라고 말할 수 있지. 세계가 새롭게 갈라져 나올 때 당신도 새롭게 갈라진다는 사실을 잊지 말게. 죽은 고양이가 있는 세계도 있고 산 고양이가 있는 세계도 ...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중 하나로, 배아 발달 과정에서 신경능세포가 이동을 멈추면 장관신경절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히르슈슈프룽 병은 복부 팽만과 변비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배출되지 못한 대변에 균을 자라게 해 장염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뮤터의학박물관에는 이 병을 ...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공기저항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아 수치해석을 이용해 가능한 비슷한 해를 구하는 게 최선책이다. 수치해석은 연속적인 양을 불연속적인 점으로 나타내 비슷한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실제 값과 비슷하지만 비어있는 부분의 값을 주변 ...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뒤로 약간 꺾이는 힘겨운 자세가 되었다.“토착 생물의 머리 부분이 불안하다. 목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중력광선을 한 발 더 발사하라.”“발사! 머리를 잘 받친 형태로 들게 되었습니다.”“현재 목표물의 고도를 측정하라.”“지상에서 0.4미터 정도입니다.”“좀 더 높이 상승시킨다 ...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삼았기 때문이다. 또 한반도에서 자라는 밀은 글루텐이 적은 탓에 반죽을 해도 잘 뭉쳐지지 않았다. 그래서 194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이나 서양에서 유래하는 빵을 먹었다. 그러다가 1950년대부터는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지금도 국내 제빵업계를 대표하는 한 ...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질소 커피, 어떤 커피일지 예상이 가능한 이름이다. 이름처럼 질소를 주입한 커피다. 맥주에는 종종 질소를 주입해 크리미한(부드러운) 거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커피에 ... 사이에서는 질소 역시 맛 분자를 변화시킨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빌어먹을 늙은이! 정보량을 역사 보존에 전부 쓴다는 건 거짓말이었군!”노마는 지지 않고 소리쳤다.“불멸자란 별명이 괜히 붙었다고 생각하나?”노마의 말은 허풍이었다. 이론상으로 그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는 없었다. 하지만 사용하는 정보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팽창주의자나 ...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심한 경우 신경마비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신경관 결손이 왜 일어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유전에 의한 것인지, 환경의 영향인지도 확실하지 않죠. 그래도 다행히 미국의 경우 1998년 이후 신경관 결손 발병률이 이전보다 20%나 감소했는데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가임여성에게 ...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룡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사이의 과정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의견이 분분하다. 이 과정에 힘을 보태는 생물이 수각류에 속하는 트로오돈티드(troodontid)류의 공룡이다. 크기가 작고 깃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중국과학원 척추동물고생물학및인류학연구소 쑤 ...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복잡한 문제 풀 때 유용해계산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문제나 답을 찾는 방법이 밝혀지지 않은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해서다. 하모니 서치와 같은 최적화 기법은 정확한 답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의 답을 최대한 비슷하게 구하게 해준다.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유전 알고리즘이 1970년 등장한 이후,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