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양이온-파이 결합이 멜라닌의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8년 9월호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at7457 양이온-파이 결합은 벤젠고리에 있는 파이 전자가 주변 양이온과 정전기적으로 결합하는 현상이다. 홍 교수팀은 멜라닌에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지진 전조현상 식별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몇 시간 혹은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피지컬리뷰레터스’ 7월 29일자에 실렸습니다.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단 한 차례 신호만으로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8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doi: 10.1126/science.aaw590 ... ...
[과학뉴스] 신경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획득 능력을 기존 현미경보다 초당 100배가량 높인 새로운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홀로그램 현미경은 레이저 2개가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해 빛의 진폭과 위상을 파악한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홀로그램 ... ...
[과학뉴스]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다른 열대 지방과 달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보다는 배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 관측 위성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OCO-2’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OSAT’의 관측 결과를 종합해 2009~2017년 열대 ... ...
[과학뉴스] 걷기, 달리기 모두 되는 ‘아이언맨 슈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확인했다. 이는 몸에서 약 6kg를 덜어내고 활동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다. 연구 논문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8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v753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7%)보다 피부 및 귀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2배가량 높다는 것을 확인해 2018년 10월 22일 국제
학술
지 ‘개 유전학 및 역학(Canine Genetics and Epidemi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검정색이나 노란색 털을 가진 레트리버의 수명이 평균 12년인데 비해, 갈색 털을 가진 레트리버는 10.7년 정도로 비교적 짧다는 .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피인용 상위 1%에서 차지하는 점유율(6.94%)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글로벌
학술
정보회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의 보고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1% 연구자(HCR·Highly Cited Researcher)들을 토대로 지난해 11월 발표한 ‘2 ... ...
너는 지금 달리기가 하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아래 그래프). 대니얼 리버먼 미국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교수는 2004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인간은 달리기 속도를 올리더라도 걸음걸이를 바꿀 필요가 없어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nature03052 몸에 남은 오래달리기 흔적리버먼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도움도 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도 논문 작성은 쉽지 않았다. 4월 중순 한국천문학회 춘계
학술
대회에서 피드백을 받은 뒤 5월 중순 학회지에 투고했다. 두 번의 리뷰가 오간 뒤 마침내 7월 16일 학회지로부터 게재 승인이 떨어졌다(아래 사진). 논문은 JKAS 10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당시의 희열과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