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b02251 그리고 올해 2월 22일 퓨린과 유사한 또 하나의 염기쌍(S, B)을 추가로 만들어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doi:10.1126/science.aat0971 이로써 지금까지 총 4개의 염기쌍, 8개의 알파벳이 완성됐다. 새로운 염기쌍은 자연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부자연스러운 염기쌍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사이버 실험 표본인 셈이다. 미분방정식으로 생체시계 모델 만들어김 교수는 국제
학술
지 ‘몰레큘러 셀’ 2015년 10월 1일자에 생체시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doi:10.1016/j.molcel.2015.08.022 1954년경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생체시계는 몸에 시계가 있는 것처럼 생명체의 생명 현상이 24시간을 주기로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공동연구팀은 초파리의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상 미토콘드리아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불량’ 미토콘드리아에 각각 형광물질을 표지한 뒤 이들을 추적했다.미토콘드리아는 긴 튜브 형태로 서로 ... ...
[수학뉴스] 항공기 실종 사건 수학이 해결할까?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이 방법으로 바다에 잠겨있을 비행기를 찾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카오스’ 4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줄인 뒤 컴퓨터로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
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미국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9년 4월 18일 방영한 빅뱅이론 274화에 증명 ... ...
[프리미엄] 부활한 돼지 뇌세포 생명의 경계를 흔들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말했다. 뇌세포는 살아났지만, 뇌 기능은 못해세스탄 교수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19-1099-1 이후 과학계에서는 뇌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찬사와 함께 생명윤리 논란이 일었다. 세스탄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교수가 플림톤 322에 적힌 수들이 일종의 삼각비 표라는 주장을 제기하는 논문을 수학사
학술
지 ‘히스토리아 마테마티카’에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하는 수들이 적혀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을 통해 직각삼각형의 각 변 사이의 길이의 비인 삼각비를 알 수 있다는 겁니다.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수학 교육에 관한 정보도 나눌 수 있게 하고요. 국내외 뛰어난 논문을 모아 국제
학술
지도 발간합니다.2. 임기 기간인 2년 동안 어떤 일에 집중하실 계획인가요?수학은 수와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자연현상이나 사물을 연구하기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정 단순화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4월 2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63-019-0344- ... ...
올챙이 꼬리 ‘이것’ 덕분에 재생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고든연구소 연구팀은 올챙이의 꼬리가 재생되는 새로운 기작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5월 1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실험에 사용한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올챙이는 일생 동안 꼬리를 재생할 수 있다. 단, 수정 후 5일쯤 됐을 때 재생이 불가능한 시기가 이틀간 존재한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