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된 것이 2006년 12월 존 로저스 당시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은 이 논문에서 기존 전자기기에 쓰던 갈륨비소화합물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해 성능 저하 없이 스트레처블 특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공동연구팀은 초파리의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
학술
지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상 미토콘드리아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불량’ 미토콘드리아에 각각 형광물질을 표지한 뒤 이들을 추적했다.미토콘드리아는 긴 튜브 형태로 서로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수학 교육에 관한 정보도 나눌 수 있게 하고요. 국내외 뛰어난 논문을 모아 국제
학술
지도 발간합니다.2. 임기 기간인 2년 동안 어떤 일에 집중하실 계획인가요?수학은 수와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자연현상이나 사물을 연구하기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결과 스콧의 텔로미어가 길어져 형에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 ...
압전소자 성능 2배로 끌어올리는 비법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Sm) 결정을 첨가하면 압전소자의 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4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압력이 발생해 물체의 형태가 변하는 물질이다. 압전소자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빠르게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말하는 울렌백 교수는 당당하게 여성 수학자로서의 길을 개척했고, 그 길에
학술
적 업적으로 커다란 영광을 줬다. 또한 많은 동료 수학자들과 후학들에게 영감과 위로를 주는 천재적 재능의 수학자다. 아벨상 수상에 울렌백 교수만큼 잘 어울리는 사람도 흔치 않으리라 생각한다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서부 해안에서 남대서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 대륙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1년 페루 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사막에서 발견한 화석을 분석했다.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Peregocetus pacificus)로 명명한 이 화석은 약 4260만 년 ... ...
새로운 인류 조상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금껏 발견된 인류 종과 다른 새로운 종인 ‘호모 루조넨시스(Homo luzonensis)’라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07년 유골을 발견한 지층을 추가로 조사해 아이를 포함해 최소 세 명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손과 발의 뼈 등 화석 총 12점을 발굴했다. 방사성동위원소 연대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공동연구팀은 특수한 지질과 물을 합성해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일자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분석한 결과 혀 아래 신경의 크기가 언어 발성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
학술
지 ‘신경과학의 최전선(Frontiers in Neuroscience)’ 2018년 8월 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혀와 연결된 신경의 크기가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doi:10.3389/fnins.2018.00534 연구팀은 원시 영장류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