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수 성비 불균형, 포유류는 암컷이 조류는 수컷이 많다
2015.10.07
성염색체의 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빨간색이 XY형, 파란색이 ZW형을 의미한다. 고리 원의
바깥
부분은 암수 성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빨간색이면 암컷이 많다는 것을, 파란색이면 수컷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 네이처 제공 현재 우리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1대 1인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 ...
대구가 돔구장이었다면 삼성의 5연속 통합우승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때문에 야구공이 받는 공기 저항이 적다. ▶⑤ 상승한 공기는 천장의 배기구를 통해
바깥
으로 배출된다. ▶⑥ 기압은 주변과 상호작용한 결과다. 천이 없는 야외 야구장의 경우 상층 공기가 하층 공기를 누르는 압력이 작용하는데, 돔구장은 천장 덕분에 이 압력이 없다. 즉 공중에 뜬 공이 위에서 ... ...
추석, 헤이즈의 습격
2015.10.04
외출을 하면 계속 눈이 따가웠다. 재채기와 기침도 심하게 났다. 결국 추석 내내 현관
바깥
에 한번 제대로 나가지 못했다. 꼭 외출이 필요할 땐 자동차를 집 앞에 대기시켰다가 숨을 참고 달려가 올라타야 했다. 현지에서 외국인 학교에 다니고 있는 조카는 휴교령으로 집에서 쉬어야 했다. 현지 ... ...
‘황금연휴’ 알찬 여행의 팁을 알려주마
2015.09.25
사항까지 기억을 잘 한 것이다. 이들은 사진 프레임 안에 확대된 부분 뿐 아니라 프레임
바깥
부분까지 잘 기억했다. 연구진은 줌인 촬영법의 효과를 소개하면서도 현실과의 차이점은 분명히 했다. 실험에서는 작품 하나만 관람했지만 여행 중에는 기억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하루에도 여러 개 ... ...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5
발전기가 달려 있다. 300~600m 상공에 뜬 채로 전력을 생산해 지상국으로 송전한다. 비행선
바깥
면에는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된 보조날개 4개가 달려 있어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향하도록 비행선의 자세를 잡아준다. 필요한 곳으로 쉽게 옮길 수 있고 바로 하늘에 띄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회전하는 블랙홀(커 블랙홀)에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가는 ‘에르고 스피어’
바깥
쪽 틍정 궤도 에 있는 물체가 2개로 분리되고 둘 중 하나가 빨려들어간다면,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비슷한 원리로 반대 물체는 블랙홀에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이것을 ‘펜로즈 과정’이라 한다. 쿠퍼는 탐사 중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NASA는 우주복의 등에 우주선과 연결되는 장치를 달아 임무를 끝낸 우주인이 우주복은
바깥
에 벗어 놓고 연결 장치를 통해 몸만 우주선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 밖에 NASA는 인류를 태우고 화성까지 날아갈 우주선용 이온엔진도 개발을 마쳤다. 이온엔진은 이온을 발사해 ... ...
‘제2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거면 막을 수 있다
2015.09.08
상승하게 되고, 상부에서는 수증기를 다시 물로 응축시키는 방식으로 노심의 열을
바깥
으로 빼낼 수 있다. 방 교수는 “원전 사고 시 블랙아웃(전력 차단)으로 펌프가 멈춰 냉각수를 원자로에 공급할 수 없을 때 하이브리드 제어봉을 집어넣는 것만으로도 수리를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을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없다. 그 결과 이 영역의 시각정보가 없어 맹점이 존재한다. 반면 두족류는 망막
바깥
쪽에 신경섬유가 있기 때문에 망막이 온전해 맹점이 없다. - 위키피디아 제공 맹점은 원형으로 지름의 시야각이 5도쯤 된다. 달이 0.5도 이므로 달 열 개가 나란히 놓일 수 있는 범위의 각도다. ‘그 정도면 맹점이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사건이 있었다. 이때 목성과 토성 사이의 역학 관계가 변하며 천왕성과 해왕성이 태양계
바깥
쪽으로 날아가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이다. 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