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3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초저전력 전자코, 가스 식별·농도 측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하이알플렉스주는 내년 출시 예정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박주성·김준호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학부생과 이후상 융합기술학제학부 박사과정생으로 구성된 어시스트 팀이 창업 경진대회에서 두 번 연속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인공지능(AI)으로 교통사고 리포트 자동제작 솔루션을 ... ...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스마트 창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스마트 윈도우 기술을 제시한 이번 성과가 향후 플러스 에너지 기술 기반 건물 및 친환경
전기
차 산업 분야의 기술 발전에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며 “특히 스마트 윈도우는 환경 오염을 해결하고 냉방 에너지를 저감할 뿐 아니라 자가 전력 생산 기술을 통해 기존 배터리 기술의 ... ...
두개골 열지 않고 주사기로 뇌신경 센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중증 뇌 질환 진단 치료의 혁신이 기대된다. 연세대는 안종현
전기
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정천기 서울대 의대 교수팀, 양성구 인천대 생명공학부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기존 뇌수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주사기형 뇌신경 임플란트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 ...
혹한에도 끄떡없는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개발했다. 상온에서만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존 이차전지의 단점을 극복해
전기
차, 드론, 초소형 전자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유정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영하 20도의 혹한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이차전지용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 ...
인터넷 커뮤니티 '짤방', 전력 낭비 주범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배출된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거나 재밌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전기
로 충전하는 행위 등이 모두 탄소 배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이 생성하는 디지털 데이터 양이 쌓이면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소모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꼬집었다. 호지킨슨 교수는 ... ...
'해수전지' 속 이산화탄소, 유용한 알코올 만드는 데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바꾸는 기술의 모식도.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해수전지는 바닷물에 있는 나트륨 이온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다. 국내 연구팀이 해수전지 속 이산화탄소를 에탄올 등 유용 화학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탁 화학공정연구본부 선임연구원팀이 ... ...
"로봇·AI가 일할 때 사람은 쉬어야 할까"…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20일 개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8.12
마련했다. 온 앤 오프(ON & OFF)는 중의적인 의미를 담았다. 로봇과 AI를 작동시키려면
전기
를 켜고 꺼야 한다는 의미와 함께 로봇 및 AI가 작동(on)하면 사람은 일을 쉰다는(off) 뜻을 담았다. 온 앤 오프 전시관에는 4족 보행을 하는 로봇들이 있다. 동물의 다리를 모방해 설계한 4개의 다리가 있으며 3D ... ...
뜨거워지지 않는 '스마트워치'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작동합니다. 액체 금속은 상온인 15℃~25℃에서 액체 상태인 금속으로 모양이 변형돼도
전기
가 잘 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팀이 야외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한 결과 기존 웨어러블 기기는 약 39.6℃까지 올라간 반면 이번 연구에서 만든 기기는 35.4℃로 온도 변화가 거의 없었어요. 또한 피부가 ... ...
[과기원NOW] GIST, 3초 내 900도 치솟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필요한 발전장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지민
전기
전자공학과 교수와 정성준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무선통신과 에너지 하베스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폴리머 쇼트키 다이오드의 안정성을 오래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 ...
심장·뇌심부 생체 전자소자, 3D 프린팅으로 자유롭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같은 복잡한 구조도 만들 수 있다. KAIST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이전 연구 대비
전기
전도도가 약 1.5배 높고 고해상도 3D 패터닝이 가능했다. 에펠탑이나 다리 같은 복잡한 구조물까지 만들어 내는 수준이다. 물성도 생체조직과 비슷해 생체조직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