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발
신비
미스터리
d라이브러리
"
신기
"(으)로 총 1,3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사용될 예정이다. 10년이나 20년 뒤에는 세탁기가‘사라질 가전제품’1순위가 될 것이다.
신기
한 옷 덕분에 일상이 즐거워져요!더우면 시원해지고 추우면 따뜻해지는 옷미래에는 한겨울에도 두툼한 외투를 입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여름에 민망하게 러닝셔츠 바람으로 있을 필요도 없다. 미국 ... ...
폴짝, 공포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냄새를 풍겨 적이 싫어한다고도 해요. 공포를 느끼면 도망가기쉬워지는 우리 몸, 정말
신기
하죠? 사람마다 느끼는 공포가 다르다?같은 무서운 것을 보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공포는 다르답니다. 공포를 느낄 때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공포를 더 많이느끼는 친구들은 무서운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06
친수성 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많이 쓰인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붙여주면
신기
하게도 우리 몸에 있는 핵산 분해 효소나 대식세포의 방해 작용을 피할 수 있다.자기조립을 이용한 나노메디신 기술은 앞으로 응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멀지 않은 미래에 각종 난치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05
요한 바이어는 남쪽 지평선에 있는 몇몇 별들을 연결해 새로운 별자리 12개를 추가했다.
신기
하게도 바이어는 남쪽을 여행한 적이 없다. 아마 네덜란드 항해가인 페트루 테오도루스의 기록을 갖고 별자리를 만들어 이름을 붙였던 것 같다.바이어가 시작한 남쪽 별자리 만들기는 니콜라스 라카유에 ... ...
'과학'과 '쇼핑몰'의 환상궁합
과학동아
l
200704
적외선을 바닥으로 쏘아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해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신기
한 로봇이다. 전기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아이디어 블록선물 ‘로켄복’자신이 창조한 세상을 스스로 움직이는 기분은 어떨까? 로켄복은 블록으로 구조물을 조립한 뒤 리모컨으로 ... ...
통계로 2008년 대선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4
보여준다. 다가오는 대통령선거에서도 여론조사의 예측력이 용하다는 점쟁이의 ‘
신기
’를 누르며 ‘통계의 예술’을 보여주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 대한민국 수학 부활 프로젝트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암호를 부탁해 통계로 2008년 대선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04
100만달러의 상금이 걸려 있고, 이런 문제가 자그마치 여섯 개나 더 있다는 얘기도
신기
하게 느껴질 것이다.푸앵카레 추측은 위상수학에서 제기된 문제로 고차원 공간의 구조를 다루고 있다. 흔히 위상수학자는 커피 잔과 도넛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농담 삼아 얘기하는데, 위상수학은 도형의 크기나 ... ...
방과 후에 더 재미있는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
손바닥 위에 불이 활활 타고, 갑자기 뿌연 연기가 피어오르는 등 정말
신기
했지. 더욱
신기
한 사실은 과학 마술이라는 거야! 과학 마술에 푹 빠져 있는데 밖에서 슈우욱~ 하는 소리가 들렸어. 이번엔 운동장에서 멋지게 로켓이 날고 있는 거야.묵동초등학교 과학발명반 친구들은 이렇게 마술도 하고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각질을 콕콕 뜯어 먹으면서 피부병을 치료해 줘. 그래서 이름도 닥터피쉬라고 해. 정말
신기
하고 재미있을 것 같아. 참, 우리나라에도 닥터피쉬가 있는 목욕탕이 있다니 가 보는 것도 좋겠다.여기가 사우나의 원조찜질방과 같이 따뜻함을 즐기는 시설을 사우나라고 많이 불러. 사우나는 핀란드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03
2중성 카스토르, 알고 보니 6중성소형망원경으로 카스토르를 관측해 본 사람이라면 그
신기
한 광경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카스토르는 대물렌즈 지름이 60mm인 굴절망원경으로 보면 단지 밋밋한 하얀색 별일 뿐이다. 그러나 망원경의 배율을 100배 이상 올리면 다른 광경이 나타난다. 밝게 빛나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