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발
신비
미스터리
스페셜
"
신기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직면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2025.04.26
방식에 대한 심리학의 연구 또한 같은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 같으면서도
신기
하다는 생각이 든다. 삶이 던져주는 좋은 것들을 사랑하는 만큼 아픔 또한 받아들일 수 있다면 힘든 때에 마음이 지하로 추락하는 일은 어느 정도 피할 수 있을 것 같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
2024.12.21
제공 인간은 여러가지로
신기
한 동물이다. 특히 ‘자아’, 자기 자신에 대해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갖춘 덕분에 미래에 대한 계획(예를 들어 '나는 XX한 사람이 되고 싶어')이나 자기 성찰(예를 들어 '나의 이런 행동은 좋지 않은 거 같아') 같이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멋진 기능을 가지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놓았던 괴담이 정작 본격적인 방류가 시작된 작년 8월 24일부터 언론과 유튜브에서
신기
할 정도로 감쪽같이 사라져 버렸다. 방류가 시작되어 구체적인 실측 자료가 실시간으로 공개되면서 엉터리 괴담의 핵심이었던 부끄러운 '가짜 과학(fake science)'이 설자리를 잃어버린 덕분이었다. 지난 1년 동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위해 이용되고 있다. 곰팡이가 세균을 물리칠 수 있는 항생제를 가지고 있는 것도
신기
한 일이지만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아내서 감염병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는 것도 대단한 일이다. 항생제는 언제 어떤 경로로 발견되었을까. 19세기 초 위생운동을 전개한 에드윈 채드윅. 위키미디어 제공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생각되는 곳에서도 비슷한 모양의 구멍 뚫린 머리뼈가 발견되는 것이
신기
한 일이다. 더
신기
한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구멍뚫린 머리뼈가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단 한 개이기는 하지만 가야시대 고분에서 발견된 머리뼈에 둥근 모양의 수술 흔적이 남아 있으며 이러한 수술 흔적이 왜 남았는지 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Isaac Newton, 1643~1727)에게는 왜 하필이면 사과가 지구 중심 방향으로 떨어지는지 참으로
신기
한 일이었다. 20대에 가진 그 의문의 답을 찾기 위해 뉴턴은 20년이 넘는 시간을 보냈고 1687년에 발행한 '프린키피아(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Principia)'에서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표했다. 관찰과 실험을 ... ...
[과학게시판] 제4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 수립 공청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25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인 CES 2023에서 혁신상을 받은
신기
술 제품을 전시하는 '과학
신기
전'을 25일부터 다음 달 14일까지 무료로 연다. 전시에서는 지크립토의 공개 블록체인 투표 시스템 '지케이보팅', 카티어스의 어린이와 대화하는 인공지능(AI) 장난감 '카티' 등이 공개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없는 오류 정보가 일정하더라도 학습도가 완벽해질수록 점차 오류가 줄어드는 현상은
신기
하지만 이율배반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그럼 뇌에서는 오류 정보의 활용도를 어떻게 학습과정 중에 변화시킬까. 정말 오류정보는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발생되는 것일까. 그러한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
2022.11.05
잠과 깊은 잠을 얼마나 취했는가, 그리고 그들의 주기적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신기
하게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몸의 상태는 전날 밤 수면 주기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수면의 ‘양’이 적더라도 수면의 ‘질’, 수면 주기가 적절히 지켜진 다음 날은 훨씬 개운하게 깨어나고 몸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수학은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은 친구, 허준이
2022.07.05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에 대한 글을 쓰겠다고 자리에 앉자마자 벌어진 일인데
신기
하다. 우리 기억의 첫 줄에는 그 앨범이 있기 때문이다. 중학교 2학년 시절 준이는 과학부장이자 농구를 좋아하는 소년이었다. 필자는 두꺼운 책을 학교에 가져와 읽는 척하는 이상한 아이였다. 우연히 뒷자리에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