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조종하는 일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지상에서 조립할 때부터 나노미터(10억분의 1m) 단위 정확도로 렌즈와 거울을 배열, 조립해야 한다. 해상도가 높아진 만큼 이미지 처리 능력도 빨라졌다.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에 감지된 빛을 실제 사진으로 뽑아내는 과정이다. 처리해야할 자료량도 많아졌다. ...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큰 문제는 배터리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솔라 임펄스 2에 탑재된 리튬이온전지는 단위 무게당 260Wh를 축전할 수 있는데, 야간에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실은 전지 무게만 비행기 무게의 4분의 1인 633kg에 달한다. 그렇다면 차세대 태양광 여객기는 그저 백일몽일까. 김 실장은 “아직은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가리키는 말이에요. 중성미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0에 가까운 가장 작은 단위의 입자예요. 우주 먼 곳에 있는 블랙홀 같은 곳에서만 생길 수 있어서 과학자들은 중성미자를 통해 우주의 기원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요. 중성미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라 다른 물질과 거의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훨씬 잘 들을 수 있지만 여치의 노래는 그렇지 못하답니다. 헤르츠(㎐)★진동수의 단위로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츠(Hertz, 1857~1894)의 이름을 땄다.몸집이 작은 곤충은 소리의 방향을 알기 어려워요소리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하는 동물은 대개 귀가 두 개 있어요. 그 이유는 ...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서로 다른 것이 무엇이 있는지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생명의 구성단위, 세포와 핵 5. 수업 지도 순서TV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쌍둥이들의 사진을 보고 공통점이 무엇인지 질문하며 수업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 쌍둥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과정을 설명한다. ▶ 얼굴이 ... ...
- [화보] 지식을 담은 꿈의 공간,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패턴인 그리드는 실내 공간에서 시선을 가로막는 기둥을 최소화 해 줄 뿐만 아니라, 작은 단위의 평면을 이용해 곡면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돔과 마찬가지로 격자 구조가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주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드를 활용하면, 벽이나 천장이 조명의 기능까지 할 수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활발히 논의했던 연구 분야다. 여기서는 일정한 거래 금액을 만드는 데 필요한 액면 단위와 화폐의 평균 개수가 적을수록 편리한 것으로 본다. 이런 관점에서 경제학자들은 효율성이 높은 액면 체계를 찾기 위해 정수론과 ‘최소 노력 원칙’ 같은 수학적 원리를 활용했다. 최소 노력 원칙은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실어서 전송한다. 즉 진동하는 파동에 정보를 싣게 되는데 많은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는 단위 시간 동안 진동횟수가 많아야 한다. 예를 들어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1000MHz과 1020MHz 사이의 주파수로 신호를 보낸다고 하자. 이때 20MHz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다는 의미는 50ns(=$\frac{1}{20}$MHz)마다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통일돼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초끈이론이다.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입자가 아니라 아주 작은 끈으로 보는 이론이다. 이 끈은 끊임없이 진동하는데, 진동하는 유형에 따라 고유의 성질이 생긴다. 또 수많은 차원에서 각각 고유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종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될 뻔했던 카시롤라2010년 남아공 월드컵 때 ‘부부젤라’는 144dB(데시벨, 소리 크기의 단위)로 비행기 소음(150dB)만큼이나 시끄러워 경기 중인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친 것은 물론, TV로 관람하는 시청자들도 괴롭게 했었다. 지난해 4월 브라질월드컵 공식 응원도구로 소개된 ‘카시롤라’는 손에 쥐고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