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람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랍니다. # 참고래가 땅에 묻힌 것도 신기한데, 다시 세상
밖
으로 나와 멋진 골격표본이 된다니 정말 재밌지? 지금은 아직 창고에서 건조 중인 상태지만 친구들을 만날 날이 머지 않았어. 친구들, 멋지게 변한 내 모습 보러 와 주길 바랄게~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위해 길이 2.5km인 광섬유에 펄스 레이저를 통과시켰다. 하지만 광섬유에 들어간 레이저는
밖
으로 빠져나오지 못했다. 광섬유가 중간에 손상을 입어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무루 교수팀은 이후 수차례 실험 끝에 광섬유 길이를 1.4km로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CPA를 실험적으로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당일에는 이를 숙지하고 달리니 마의 구간을 넘기기가 한결 수월했다. 하지만 예상
밖
의 순간에 고비가 찾아왔다. 5km 지점에서 주최 측이 제공한 물을 벌컥벌컥 마신 뒤였다. 달리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배가 아팠다. 1km 거리를 뛰는 평균 속도가 6분 46초에서 6분 59초로 급격히 늘었다. 운동을 하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오랜 기간에 걸쳐 개발된 기후모델과 달리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연구는 불과 10년
밖
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구시스템 모델로 예상한 값은 실제 관측값과 오차가 존재합니다. 또한 북극해는 인류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에 관측 자료가 부족해 오차를 수정하기도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오색찬란한 태양전지 창이 눈에 들어왔다. 이런 창은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처럼 투명해
밖
이 훤히 보인다. 김종복 동진쎄미켐 종합연구소 팀장은 “창은 건물 외부에서 빛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역할도 하지만, 내부의 에너지를 빠져나가게 하는 창구도 된다”며 “발전 기능과 단열 또는 냉방 기능을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하려는 습성이 있어서 본능적으로 빛에 끌린다는 추측이 있지요. 대도시의 불빛은 수백km
밖
에서도 보일 정도로 밝기 때문에 밤에 이동하는 새들이 여기에 이끌릴 수 있답니다. 먼 거리를 이동하는 새들은 에너지를 아끼며 효율적으로 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새가 불빛에 이끌려 도시로 ... ...
[Culture] 고양이가 자꾸
밖
에 나가요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저는 나파밸리에 큰 불이 났을 때 구조된 고양이를 입양해 이름을 ‘나파’라고 지었어요. 그런데 집에 데려온 첫날부터 밤에 창문을 긁고 심하 ... 하면 된다.이렇게 실컷 사냥놀이를 즐기고 난 뒤 피곤해진 고양이는 ‘꿀잠’을 잘 수
밖
에 없다. 밤마다 가출하려던 습관도 잊고서 말이다 ... ...
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위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발사 소리를 내보내는 거죠. 이 소리를 들은 새들은 깜짝 놀라 비행기의 이동 경로
밖
으로 도망간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쪼롱이의 도시 생존기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Part 3. 하늘을 가르는 거대한 비행기의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가산동에서는 사건 발생 당시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지반 함몰로 인한 진동을 느껴 급히
밖
으로 대피했다. 4. 땅꺼짐 막는 기술 어디까지 왔나국내에서 지반 함몰 현상은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018년 6월 발표한 ‘5년간 지반 침하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3~2017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겁니다. 좁디좁은 세포들 틈을 비집고 들어가다 보니 장은 자연스럽게 길어질 수
밖
에 없습니다.과학자들은 포유류의 소장 역시 이렇게 두 겹의 세포가 한 겹이 되는 과정을 통해 길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데보라 구무시오 미국 미시간주립대 교수팀이 7월 16일 이런 가설을 뒤집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