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메이징 모기맨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촬영한 사진이다. 고온의 혈액 때문에 체온이 올라간 모기가 꽁무니에 핏방울을 매달자(오른쪽 사진) 체온이 2~4℃ 가량 떨어진다.‘어메이징’한 모기맨 능력, 소문나다음하하하~! 이제 나의 놀라운 능력을 알았지? 벌써 소문을 듣고 저렇게 사람들이 몰려오는군. 역시 모기의 능력은 사람들이 흉내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큰일났어! 친구가 편지를 보내왔는데 무슨 일이있나 봐. 오른쪽 편지를 읽어 보렴.이를 어째, 어째~. 큰일이다, 큰일이야!수구리네가 사라지면 이제 수원청개구리는 못 보는 거야?잠깐. 우선 상황부터 정확하게 알아보자. 무턱대고나선다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웬일이래. 몽이가 ...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성운을 포착하다‘새로운 발견’ 부문 당선작으로, 코끼리 코를 닮았다. 가스 성운의 오른쪽에서 쭉 뻗어 나와 있는 긴 모양 때문. 끝은 구부러져 있고 젊은 별 주변에 공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마치 과일을 코로 든 것 같다. 심사위원들은 “이렇게 먼 천체를 새로 자세히 포착하는 일은 고도의 ... ...
-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지난 5월 국내 과학자가 최초로 장수하늘소를 인공증식 하는 데 성공했어요! 인공증식이란 장수하늘소 암수 한 쌍을 짝지어 알을 낳게 한 다음, 거기서 태어난 애벌레가 번 ... 알 수 없었던 장수하늘소의 생태 사이클을 완벽하게 알아냈답니다. 사진은 왼쪽이 수컷, 오른쪽이 암컷이에요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단계별로 나눴다.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뇌를 촬영했다. 그 결과 보수적일수록 오른쪽 편도체가 컸고, 자유주의자일수록 전측대상피질이 컸다. 편도체는 위험을 감지해 두려움에 반응하는 영역이다. 위험에 더 잘 반응할수록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적인 성향이 된다는 뜻이다. 앞서 언급한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비쌍극자 자기장은 전체 자기장 세기의 나머지 10%를 담당하는 무질서한 자기장이다. 오른쪽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비쌍극자 자기장의 세기나 방향은 육지나 바다 같은 지형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심지어 같은 곳에서도 시간에 따라 세기와 방향이 변하기까지 한다. 지각의 물질과는 상관이 없다는 ... ...
- 생명수학을 만나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체순환 과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방정식으로 나타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를 그릴 수도 있어요.생명수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심장의 움직임을 ‘심장 방정식’을 이용해 우리 눈에 보이도록 만들어줘요. 이 연구로 심장 질환 치료를 도울 수 있어요. 정상인 사람들의 ... ...
- 수학자가 남긴 선물,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수 있습니다. 정십이면체는 정오각형이 3개, 정이십면체는 정삼각형이 5개 모여 있으니 오른쪽 그림처럼 각 도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324°와 300°가 됩니다.그렇다면 외각의 크기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360°-(한 내각의 크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펼쳐진 전개도에서 내각을 제외하고 모두 각 도형의 ... ...
- 스스로 집 찾아가 에너지 채운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의 왼쪽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인식하면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오른쪽 방향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인식하면 왼쪽으로 회전하는 식이다.모든 방향의 적외선을 동시에 인식하면 똑바로 직진한다. 이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면 도킹 스테이션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적외선 ...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세워보면 보통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점점 큰 숫자를 나열한다. 이런 심리때문에 몸을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보다 왼쪽으로 기울였을 때 에펠탑을 더 왜소하게 느낀다는 것. 아니타 얼랜드 네덜란드 에라스뮈스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가정용 게임기 ‘위(Wii) 밸런스 보드’에 실험 참가자들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