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34까지 수를 표현했다. 마지막 수인 34는 ‘죽은 사람 하나’를 가리켰다. 왼쪽 고환은 31, 오른쪽 고환은 32, 음경은 33으로 표현했다.재미있는 건 윱노 부족 스스로도 33을 표현할 때 굉장히 부끄러워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33을 표현해야 할 때면 ‘남자의 물건’과 같이 돌려서 그 숫자를 언급한다고 ...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뇌과학연구소 소장)좌뇌와 우뇌의 연결통로, 뇌량우리 뇌는 크게 왼쪽과 오른쪽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뇌량은 이 둘을 연결시켜 주는 다리예요. 양쪽 뇌의 정보가 여길 통해 오고 간답니다. 이 부분이 손상되면 어휘력과 사회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뇌량이 한창 예민한 나이는 9세에서 ...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내기 위해 자연스럽게 특정 신체 부위가 단련됐다.펜싱 선수들은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쪽 허벅지와 왼쪽 종아리가 발달한다. 더 빠르고 더 먼 거리의 런지를 하기 위해서다. 2012년 국제그랑프리대회 은메달리스트 구본길 선수는 양쪽 허벅지의 둘레 차가 5.5cm나 난다. 김 연구원은 “펜싱이 ...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용했다. 위성에 실린 관측기로 5월과 6월 동북아시아 곳곳의 지표면 온도를 측정했다. 오른쪽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6월의 지표면 온도는 5월과 비교해서 전 영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늦봄에서 초여름으로 바뀌는 시기니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온도는 중국 북부 지역과 몽고, 그리고 ... ...
-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과학동아 l2012년 08호
- 0이지만 위도가 높아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북반구에서 전향력은 공기 운동 방향의 오른쪽 직각 방향으로 작용해 공기가 점차 동쪽으로 치우쳐 운동하게 한다. 공기가 위도 30° 근방의 아열대 지방에 접근할 때쯤에는 전향력은 남쪽으로 작용해 기압경도력과 평형을 이룸으로써 서풍 계열의 ...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런 일이 일어나요.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카리나성운’으로, 가운데와 오른쪽 윗부분에 물결처럼 퍼져 나가는 모습이 보여요. 물결 모양 중심에 있는 적외선 별이 양쪽으로 내뿜은 충격파 때문에 성운의 모양이 마치 물결처럼 출렁이고 있답니다. 은하가 내뿜는 미지의 ... ...
- [생활] 유희의 수, 15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수 없기 때문이다.그럼 15퍼즐이 갖고 있는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4×4 퍼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자릿값이 커진다고 생각해 보자. 퍼즐에 배열된 숫자 n마다, 자신보다 자릿값이 큰 위치에 있으면서 크기가 작은 숫자는 몇 개인지 세어 보고 이 값을 f(n)이라 하자. 예를 들어 ... ...
- 최종 병기 애니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 원하는 이동 경로로 유도한다. 거북이를 오른쪽으로 가게 하려면 왼쪽에 커다란 벽을 보여주는(착각하게 하는) 것이다.‘가상현실을 이용한 생물체 원격유도 기술’로 이름붙인 이번 연구는 동물의 뇌나 신경에 직접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는 기존 실험과는 ...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회로를 만들어 전류를 흘렸다 끊었다 하는(스위칭) 저항메모리 반도체 성질을 구현했다. 오른쪽 아래 작은 그림은 회로도이다.][텅스텐 와이어를 연잎의 섬모 모양으로 설계해 물이 묻어도 반도체 성질을 잃지 않는 반도체 만들기에 성공했다.]6 거미줄 방탄조끼기관총도 막아낼까갈등하는 히어로 ...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몇 분의 각도만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틀어 쏴야하는지 알 수 있다. 스코프의 오른쪽에 달린 크리크를 이용한다.이제 탄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력과 바람을 계산하는 법을 알았다. 이 기사를 읽은 과학동아 독자도 백발백중의 저격수가 될 수 있을까. 하지만 저격수가 되는 길은 아직도 멀고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