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
고대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가능성도 보여주어야 하지 않을까? 물 때문에 억지로 셈을 배우던 아이들 중 일부는,
고대
문명이 수와 모양을 다루던 방법과 뉴턴이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려 만든 미적분을 깨우칠 것이다. 서로 연관 없어 보이는 사실들의 논리적 관계를 규명하고 유의미한 결론에 다다르는 ‘생각의 기술’을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프로토스’와 ‘저그’는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과학문명을 이룩한 ‘젤나가’라는
고대
종족이 진화 과정에 개입해 임의로 만들어낸 존재들이다. ‘생명 그 자체’는 DNA가 이중나선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낸 프랜시스 크릭이 1970년대 동료 생화학자 레슬리 오겔과 함께 내놓은 새로운 가설인 ... ...
[지금 SNS에서는]모여라, 수포자들
동아일보
l
2015.09.11
100점에 가깝지만 역시나 부족합니다. 그 대신 태도(Attitude)가 100점(1+20+20+9+20+21+4+5)입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수학을 알지 못하는 자는 참된 지혜를 얻을 수 없다”고 했습니다. 우리 태도, 그러니까 마음가짐만이 삶의 만족도를 결정한다는 걸 이번에도 수학은 알고 있던 겁니다. ... ...
고대
바다 장악했던 ‘거대전갈’ 실체 드러내
2015.09.01
않을 정도로 형태가 특이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한 신종 바다전갈에
고대
그리스전함 ‘펜테콘터(penteconter)’에서 본따 ‘펜테코테루스 데코라헨시스(Pentecopterus decorahensis)’라고 이름 짓고 학술지 ‘BMC 진화생물학’ 1일 자에 발표했다. 램스델 교수는 “현미경을 ... ...
에볼라 전쟁에서 얻은 교훈
2015.08.09
접착력을 높여 균열을 방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포주올리의 표면암층이
고대
로마 콘크리트와 많은 물리적인 특성을 공유한다고 설명했다.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게 돼 이 모델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렇듯 빅뱅 이론은
고대
그리스부터 품어온 의문을 해결하려는 결론에서 나왔다. 저자는 빅뱅이론을 통해 과학이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논리적 과정을 통해 우주의 기원에 대한 합리적인 답을 도출해 왔음을 책에서 보이고 있다. ... ...
조혈모세포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들에게 켜진 ‘그린라이트’
2015.07.26
그런데 나뭇조각처럼 보이는 물체는 사실 나무가 아니라 뼛조각이다. 사이언스는
고대
생물체의 흔적에서 DNA를 추출하는 기술 발달이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왔는지 이번호 특집 기사로 다뤘다. 과거 생명체 화석은 이전에도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전까지는 주로 외형을 통해서만 ... ...
그들의 기괴한 열정과 실험을 찬양하라
2015.07.12
여러 궁금증을 풀어낸다. 이 책은 달력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 후 현대 달력의 기원인
고대
이집트 달력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나일강의 범람에 따라 3계절로 나뉘었던 이집트 달력, 복잡하기 짝이 없었던 로마 달력, 1년을 365.25일로 비교적 정확히 계산해 16세기 말까지 널리 사용된 율리우스 ... ...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장애와 가난이 타르탈리아의 수학적 재능을 꺾지는 못햇습니다. 타르탈리아는 번역된
고대
그리스 수학책의 오류를 잡아내고, 최고 수준의 산술서를 쓸 만큼 훌륭한 수학자로 성장했습니다. 1535년 어느날 타르탈리아에게 베네치아의 젊은 수학자 안토니오 피오르가 도전장을 내밉니다. 피오르가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번영을 가능케 한 근간 물질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우리 삶과 무관할 것 같던
고대
지구의 지질 현상이 우리의 일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000km를 넘게 달린 우리의 여정은 여기서 끝났다. 다음에는 이 여정에서 만난 하늘의 이야기를 해보겠다. 편집자 주 태초의 지구 풍광을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