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미래사회를 위해 수학교육에 필요한 현장의 목소리
2018.07.24
학년마다 다르게 편성된 교육과정의 변화로 인해 특별한 교육적 효과를 느끼지 못한 채
수정
사항에 대한 전달연수 및 자료보급 등의 불필요한 행정낭비가 일어나고 사교육 시장이 더욱 기승을 부리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으로 인한 혼란에 더해 2022 대입개편안으로 제시된 수능에서의 ... ...
정자 머리-꼬리 이어주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3
따르면 SPATC1L 단백질이 결여된 수컷 생쥐는 모든 정자가 머리와 꼬리가 분리된 형태로
수정
능력을 잃고 완벽한 불임 상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에서 특정 유전자만 잘라낼 수 있는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 가위로 생쥐를 SPATC1L 단백질이 결여되도록 만들어 관찰한 결과다. 논문 제 ... ...
[별별 필즈상 이야기] 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수가 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요청했다. 그리고 두 사람은 1년 동안 매달린 끝에 오류를
수정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정
을 끝냈을 때는 이미 앤드루 와일스가 필즈상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세계수학자대회가 지나간 뒤였다. 결국 완성된 논문은 앤드루 와일스가 41세 되던 이듬해 출판됐다. 평생의 꿈인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혐오를 부추기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한번 잘못된 지식과 믿음이 생성되고 나면 그것을
수정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 잘못된 믿음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긴 할까? GIB 제공 잘 바뀌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서던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자 Nathan Walter는 설득에 관한 기존 연구 6 ... ...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테스트’를 거친다. 개발자들이 게임을 직접 하면서 밸런스가 맞지 않는 부분을 찾아
수정
한다. 밸런스가 좋은 맵에서는 유저들의 동선이 꼬이지 않아 헤매지 않고 도착점까지 갈 수 있다. 만약 유저들이 맵 안에서 어느 길로 가야할지 몰라 헤맨다면 게임의 흐름이 끊어진다. 물론 이정표를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200만 년 이전 흔적이 발굴됐다. -사진 제공 네이처 인류 이동에 관한 기존 정설도
수정
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이론에서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프리카를 벗어나 아시아에 진출한 첫 인류였다. 호모 에렉투스는 키가 현생인류인 우리와 비슷하고 두뇌 크기도 현생인류의 최소 3분의 2 이상으로 큰 ... ...
진짜 탐정의 세계…국내 첫 탐정학과 수업 들어보니
과학동아
l
2018.07.10
크롤러를 개발하기도 한다. 운영체제 역시 윈도우가 아닌 리눅스를 사용한다. 코드
수정
이 가능한 리눅스는 자료 검색에 더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과학동아 2018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않는다. 이런 식으로 세포들이 분열해 최대 50개로 이뤄진 공 모양의 군체를 이룬다.
수정
란이 발생과정에서 분열하는 것이 연상된다. 반면 개별 세포는 절대 하나로 뭉치지 않는다.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이 지금까지 동물에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던 유전자들을 370여 개나 갖고 ... ...
이번엔 여왕개미까지...인천항에서 또 붉은불개미 군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7
입장이다. ● 붉은 불개미 어떻게 번식하나 공주개미는 여왕개미가 되기 전 아직
수정
을 하지 않은 암개미를 말한다. 공주개미는 수개미와 하늘로 올라 짝짓기 비행을 한다. 이들은 수 k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이후 공주개미와 수개미가 지상에 떨어져 개미집을 형성하고 군집을 이뤄간다. ... ...
'하트시그널'로 본 연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07.07
있는 것도 마찬가지다. 촉각은 인간이 가진 오감 중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감각이다.
수정
된 지 3주 이내에 피부세포와 뇌세포를 연결하는 원시 신경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강력한 의사소통의 형태인 동시에, 유대감 형성에 좋은 방법이 스킨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스킨십은 때로 불쾌감을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