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번엔 여왕개미까지...인천항에서 또 붉은불개미 군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7
입장이다. ● 붉은 불개미 어떻게 번식하나 공주개미는 여왕개미가 되기 전 아직
수정
을 하지 않은 암개미를 말한다. 공주개미는 수개미와 하늘로 올라 짝짓기 비행을 한다. 이들은 수 k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이후 공주개미와 수개미가 지상에 떨어져 개미집을 형성하고 군집을 이뤄간다. ... ...
'하트시그널'로 본 연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07.07
있는 것도 마찬가지다. 촉각은 인간이 가진 오감 중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감각이다.
수정
된 지 3주 이내에 피부세포와 뇌세포를 연결하는 원시 신경계가 발달하기 시작한다. 강력한 의사소통의 형태인 동시에, 유대감 형성에 좋은 방법이 스킨십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스킨십은 때로 불쾌감을 ... ...
‘크리스퍼’ 응용해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7.06
설계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세포가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유전자 가운데,
수정
직후 인간 배아를 제어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켰다. 그 결과 피부세포를 초기 배아와 비슷한 수준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다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일본 야마나카 신야 교토대 의대 교수가 ... ...
코뿔소
수정
란, 체외 배양 최초 성공...멸종위기 막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05
종은 난자나 정자 확보가 어려워
수정
란 체세포 복제는 물론 (위 연구처럼) 당장
수정
란 합성을 시도하기도 어렵다”며 “체세포를 통해 줄기세포를 얻는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이 발달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
과학동아
l
2018.07.02
그런데 최근 지상 실험과 비교해 데이터를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이 수치가 40~50%로
수정
됐다. 유기물이 예측했던 양보다 훨씬 더 많이 존재하는 셈이다. 참고로 세레스에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물(얼음)도 상당량 존재한다. 연구팀은 유기물이 세레스 내부에서 형성됐거나, 또는 유기체가 ... ...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중이며, 그 중 52개가 규명된 상태다. 유전자 편집 기술로 이런 지능 관련 유전자를
수정
해 자폐증을 치료하려는 움직임이 한창이다. 최근 동물실험을 통해 3세대 유전자 편집기라 불리는 ‘크리스퍼 캐스(CRISPER-CAS)9’의 유전성 자폐증 치료 효과를 처음 입증한 연구가 나왔다. ‘크리스퍼-캐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는 아이도 웃게 만드는 달콤한 사탕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25
상태의 물질을 ‘결정’이라고 불러요. 결정으로 이루어진 물질들은 가공을 하지 않아도
수정
처럼 특정한 모양을 갖는 답니다. 소금 결정의 모습. - NASA 제공 결정을 이루는 물질들은 우리 주변에도 흔히 있어요. 대표적으로 소금이 있지요. 소금은 나트륨 이온(Na+)와 염소 이온(Cl-)이 정육면체 ... ...
북한 교과서에서 ‘미제승냥이’ 빠진다
수학동아
l
2018.06.06
이정행 미국 나약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북한 수학 교과서에 나온 반미 내용을 어떻게
수정
할 것인지가 북한이 현재 떠안은 숙제”라고 말했다. *출처 : 수학동아 2018년 6월호 '수학으로 남북통일은 가능할까? ... ...
유방암 치료에 희소식...면역항암제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쥐어주는 식이다. 면역세포를 꺼내 암세포를 찾는 ‘안테나’ 분자를 갖게 유전자를
수정
한 뒤 다시 환자의 몸 속에 넣는 ‘키메릭 항원수용체 T세포(CAR-T)’ 요법이 대표적이다. 2013년 5월 14일 안젤리나 졸리는 미국 뉴욕타임스에 '나의 의학적 선택(My Medical Choice)'라는 제목으로 유방절제수술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이번 호에는 대표적 실험동물인 제프라피쉬나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수정
란 (배아) 세포가 특정 장기 세포로 결정되는 과정을 밝힌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팀의 논문 2편이 발표됐다. 이에 대해 버클리대 생면과학과 리처드 하랜드 교수가 쓴 ‘배아의 발달과 재증식에 대한 새로운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