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종류"(으)로 총 1,0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다만 아직은 포함된 장내유익균 종류가 많지 않다. 예를 들어 필자가 먹는 프로바이오틱스에는 클로스트리디움 오르비신덴스가 없다. 지난 2008년 중국에서는 멜라민이 들어있는 분유를 먹은 수많은 아기들이 신장결석이 생겨 고통을 당했다. 5년 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IR40a를 찾은 바 있다. 즉 초파리에는 습도수용체가 두 가지라는 말이다. 소낭에는 세 가지 종류의 뉴런(신경세포)이 있는데 각각 습도가 높을 때, 습도가 낮을 때, 서늘할 때 활성화된다. 이번에 찾은 IR68a는 물론 습도가 높을 때 활성화되는 뉴런 표면에 존재했다. 그런데 지난해 찾은 IR40a는 습도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양전자가 0.511MeV 감마선의 기원이라고 주장했다. SN1991bg 유형은 제Ia형 초신성의 한 종류로 1991년 관측된 초신성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핵융합 패턴이 다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그런데 이때 생기는 티타늄44가 스칸듐44과 칼슘44로 두 단계에 걸쳐 붕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70년 정도 된다. ...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를 시작했다. 황당한 시도인 듯 보이기도 하지만 100일 동안 하루에 하나씩 다양한 종류의 거절을 맛보아서 거절에 익숙해져 보자는 의도였다고 한다 (Jiang, 2016). 첫 날 그는 낯선 이에게 다가가 10만원만 빌려달라고 했다. 그러자 상대방이 당황하며 “안 되겠는데, 근데 왜?”라고 응답했다고 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2017.05.02
- 중 질소화합물과 반응해 오존을 생성한다. 서구 도시의 가로수 가운데 BVOC를 많이 만드는 종류로는 닛사나무, 포플러, 참나무, 아까시나무, 플라타너스 등이 있다. 저자들은 기고문 말미에서 “도심에 나무를 심는 건 분명 이득이 되지만 단점도 있다”며 “그 결과 도심에 심을 수 있는 나무의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라는 식이다. GIB 제공 ● 좋은 일보다 나쁜 일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비슷한 종류의 사건일 때 긍정적 정서에 비해 부정적 정서의 강도가 더 심하며 더 오래가고 주의도 더 잘 뺏는 등 부정적 정서의 영향이 지배적인 현상을 부정편향(negativity bias)이라고 한다. 즉 우리는 기본적으로 좋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단백질의 구조가 바뀌어 리간드(달라붙는 냄새분자나 맛분자)의 결합력이나 심지어 종류까지 바뀔 수 있다. 엑손 주변에 있는 SNP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세포 포면의 수용체 밀도, 즉 민감도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 오싫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오이의 향을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층을 만드는 경우, 간격을 줄일수록 액체를 움직이는데 많은 힘이 듭니다. 이때 고분자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분자 간 반발력, 막의 두께에 따른 점성 등을 측정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2013년 초에 그래닉 교수님께서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단장으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부임하셨는데, 저는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돌연변이체에서 아세틸화되는 히스톤 단백질들의 유전체 상위치와 발현 증가 유전자의 종류가 상당히 높은 상호 유사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두 돌연변이체는 서로 매우 비슷한 표현형을 보였는데, 두 개체 모두 정상 식물보다 개화시기가 빨랐고, 열매 끝이 뭉툭한 모양이었다. 즉, HDA9와 PWR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일어난 화재 97건을 유형별로 분류해 화재 이후 1년에서 10년에 걸쳐 거주하는 새들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산불이 일어난 영역 내에서 피해 정도가 제각각일 때, 즉 산불다양성이 클 때 종다양성이 높았다. 이는 종에 따라 새들이 좋아하는 조건이 다른데 산불다양성이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기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