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계산해 새로운 생물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미국 라이스대학 메튜 베넷 교수팀이 이 생체리듬을 따르는 대장균을 만든 거예요.이번
연구
는 ‘합성생물학’이라는 개념을 이용했어요. 합성생물학은 기계를 만들 때 전지, 전구, 모터 등을 연결해 전자 회로를 만들 듯 생물에서도 유전자와 단백질을 바꾸면 새로운 생체회로를 만들 수 있다고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개체들이 서로 혈연으로 연결돼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남남인 경우도 있었어요. 후속
연구
를 통해 친족 관계보다는 과거에 피를 나눠 준 경험 때문에 박쥐가 피를 나눠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요.남남끼리도 도움을 주고받는 호혜 이타주의남남끼리의 이타행동은 흔히 ‘협동’으로 알려져 있어요.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있다며?최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대학교 제이크 번디 교수팀이 저의 소화 능력에 대해
연구
한 결과, 특별한 소화 효소를 발견했어요. 소화액에 있는 ‘드릴로디펜신’이라는 소화효소예요.식물에는 산화를 방지하는 ‘폴리페놀’이 들어 있어서 동물의 장 속에서도 잘 소화되지 않아요. 하지만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위해 준비하고 있어요. 이곳에서는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해 배양고기를 만드는 기술을
연구
하고 있어요. 줄기세포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근육 조직 자체를 배양액 안에서 키우는 거죠. 이 방법으로 5년 안에 배양가죽을, 10년 안에 배양고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랍니다.배양고기에 대한 관심이 ... ...
날아라! 태양광 무인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EAV-3는 날개 길이가 20m나 되지만, 탄소 재질로 만들어져서 무게가 53kg로 가볍답니다.
연구
팀은 앞으로 EAV-3가 성층권에서 더 오랜 시간 날 수 있도록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에요 ... ...
과학의 눈으로 본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
원(KBSI)에서 주최한 ‘2015 KBSI 과학이미징사진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됐어요. 이 공모전은 과학 장비를 이용해 맨눈으로 볼 수 없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출품하는 대회예요. 아주 작은 물체나 생물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촬영하기 위해 현미경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친구들도 앞으로 빛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
해 나를 더 놀라게 해 줄 거지? 멋진
연구
를 보여 주길 기다리고 있을게~!특별전All Light! All Right!UN이 지정한 ‘빛의 해’를 맞이해 2015년 9월 22일(화)부터 2016년 2월 14일(일)까지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에서 빛과 관련된 멋진 전시회를 열어요. 빛과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알아보고 반가워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진 거예요.그레고리 번스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개도 사람이나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얼굴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이 있다는 게 밝혀졌고, 이것은 개 역시 사람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동물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답니다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잡아서 관찰한 뒤에는 모두 살던 자리에 놔 주는 것도 잊지 않았죠. 민재네 자연
연구
소팀의 박민재 대원은 “도감이나 곤충 판매점에서나 보던 곤충을 실제로 보니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캠프에 참여한 탐사대원들은 종일 국립수목원의 이곳저곳을 탐색하며 평생 잊을 수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수의대
연구
팀은 사람들이 반려견과 입맞춤을 해도 구강 내 세균 전염 가능성은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우선, 사람과 개는 입속 환경이 달라 서로 다른 세균 집단을 갖고 있어요. 따라서 입맞춤으로 인해 세균이 개 입속에서 사람 입속으로 옮겨지더라도 살아남기 힘들다는 거예요. 게다가 ... ...
이전
872
873
874
875
876
877
878
879
8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