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보살핌의 본능 일깨울 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 김명주 옮김 | 지호 | 360쪽 | 1만 7000원매년 서너 명씩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미국
이지만 주에 따라서는 진화론을 제대로 가르치지도 못한다. 창조론을 옹호하는 종교인들의 압력 때문. 이런 상황이 어처구니없다는 저자는 단순히 화석이나 해부학적 형태가 아닌 생체분자 DNA를 분석해 ... ...
융합은 아이디어의 보고(寶庫)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화학및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스탠퍼드대 재료공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다. 학부시절 연구에 대한 첫 경험이 지금까지도 호기심을 유지하는 근간이 되고 있다고 ... ...
부산 과학영재를 글로벌 리더로 이끈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교사들이 쉴 틈이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실력과 인성 고루 갖춘 글로벌 인재학생들은
미국
하버드대, MIT, 예일대 같은 이공계 명문대와 프린스턴대 플라스마 물리연구실(PPPL)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과학도로서 꿈을 키운다. 또 성우원과 자매결연을 맺어 매주 그룹별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신경세포에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은나노입자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은나노 세탁기가 안전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라고 요구했다. 2009년 5월까지 증거를 제시하지 못 하면 은나노 세탁기의 수입은 일절 금지된다.이 교수는 “최근 연구실에서 실험한 결과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결정체이자 세계우주협력의 상징물인 국제우주정거장(ISS)이 탄생했다.2000년 12월 2일
미국
우주인 1명, 러시아 우주인 2명이 러시아의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처음 ISS를 방문했다. 그 뒤 지금까지 16개 나라 164명이 ISS를 방문했다. 우리나라 이소연 박사가 2008년 4월 10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ISS에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짧게 책정돼 있어 생산과 배송 스케줄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김태석 센터장은 “
미국
의 경우 매장의 냉장 기준이 4.7℃이하인데 우리나라는 10℃이하”라며 “지금보다 온도를 5℃만 낮춰도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실험실을 나오니 이번엔 관능평가실이다.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니고 있는 미생물을 클론(clone)이라고 부른다.유권열 교수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탠퍼드대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단백질의 양이 감소된 유전자 결핍 생쥐를 만들어 이들의 시상하부에서 뇌세포가 손상됨을 보여줬다. ... ...
[천문우주]달먼지 콘크리트로 달기지 건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건설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지난 10월 17일 영국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는
미국
앨라배마대 휴삼 튜탄지 박사와 NASA 마셜우주비행센터의 리처드 그루겔 박사가 달먼지와 황으로 콘크리트를 개발했다고 보도했다.지구에서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로 굳힌 자갈투성이 골재로 만드는 반면, 달 ... ...
[첨단기술]내 채팅 상대는 사람일까, 인공지능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근접한 프로그램이 개발됐다고 전했다.주인공은 최근 뢰브너 상을 수상한 ‘엘봇’.
미국
의 케임브리지 행동 연구소가 주관하는 뢰브너 상은 12명의 심판관과 채팅을 해 가장 많은 심판관을 속인 프로그램에게 주어진다. 일종의 튜링 테스트다.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1950년 제안한 튜링 테스트는 ... ...
물고기도 리듬 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메기가 다가오는 시간을 시시각각 인지할 수 없다면 이 상황을 위기로 인식할 수 있을까.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분자세포생물학과 푸 무밍 교수팀은 천적이 추격해 올 때 동물이 초 단위의 시간 간격을 뇌의 뉴런으로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 ‘네이처’ 10월 16일자 ... ...
이전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