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유인원도 인간처럼 좌우 뇌 비대칭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대학과 박물관에서 구해 컴퓨터단층촬영(CT)을 했다. 그런 다음 인간과 유인원 뇌에 대한
기존
의 해부학적 자료를 종합해 935개의 기준점을 정하고, 이를 토대로 종마다 뇌의 세부 모양을 정량화해 형태학적으로 나타냈다. 그 결과 인간의 경우 좌우 뇌 모양의 비대칭성이 평균 6.9%로 나타났고,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다양한 바이러스에 작용할 수 있는 범용 백신(univer -sal vaccine)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기존
의 백신은 바이러스의 돌기 부분(스파이크 단백질)을 타깃으로 삼기 때문에 돌기에 변이가 일어나면 백신이 작동하지 않습니다.범용 백신은 돌기 대신 변이가 일어나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코어 단백질에 ... ...
[기초과학의 힘] ‘산업의 감초’ 과산화수소, 더 싸게 더 많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몇 가지 관문이 남아있다. 성 부단장은 “연구단이 개발한 과산화수소 생산방식은
기존
과 달리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인 만큼 대형 전극과 같은 생산설비들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면서도 “생산설비를 갖추고 경제성을 확보할 때까지 3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원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제어할 수 있는 킥모터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소시간을
기존
기술보다 2배 수준으로 늘린 쾌거였다. 300km 고도 우주환경을 재현하다 킥모터는 나로호 발사 395초 뒤, 지상 약 300km 고도에서 점화하도록 설계됐다. 두 개의 점화안전장치에 전기 신호가 들어가면 점화가 ...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두 개의 곱을 p로 정합니다.⑩ 세 자릿수의 곱으로 만든 가장 큰 대칭수를 찾아야 하므로,
기존
에 나온 곱셈 결과 이상의 수만 나오도록 조건문을 작성합니다.⑪ ⑩번의 조건을 만족하는 대칭수 p의 값을 변수 ans에 대입합니다.⑫ 가장 큰 대칭수를 출력합니다. 수학 문제를 푸는 데 문자열을 ... ...
스타워즈 통신수단, 홀로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상을 볼 수 있는 거지요.연구팀은 같은 평면 내에서 픽셀의 간격을 줄이려고 시도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픽셀을 수직 방향으로 쌓는 발상의 전환을 했어요. 이를 통해 픽셀 크기를 줄이고 픽셀 사이의 간격도 0.001mm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최지훈 연구원은 “홀로그램의 가능성은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확인하는 방식이다. 유전자를 증폭하는 사이클마다 결과가 분석되기 때문에
기존
검출법에 비해 PCR 시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다. 최 연구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이 1월 11일 중국 푸단대 연구팀에 의해 공개된 만큼 이를 활용하면 코로나19만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며 “현재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않는다. 이번 코로나19의 경우에도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다. 지금까지는
기존
항바이러스제인 에이즈 치료제나 독감 치료제를 써서 효과를 봤다는 일부 임상 결과가 나오고 있어 일단 중증 환자에게 쓰일 가능성은 있다. 글로벌 팬데믹 될까? 영화 속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25%로 불과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크릭이 DNA를 발견하면서 조금씩 흔들렸다. DNA와 RNA 등 유전 요소들을 분석하면서
기존
의 진화 개념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대표적으로 1977년 미국 미생물학자인 칼 워즈가 메탄생성균의 RNA를 분석한 결과는 생명의 나무를 뿌리부터 바꿨다. 이전까지 생물은 진핵생물과 세균으로 나뉘었는데, ... ...
새 학년 두근두근 첫 만남 ♥ 0.1초 첫인상의 법칙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정보를 얻게 되면 이 사람에 대한 인상이 수정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다만 이렇게
기존
의 해석을 뒤집는 것은 생물학적으로는 머리를 어느 정도 굴려야 하는 일이라서 관찰자가 정신적 여유가 있을 때거나 상대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나 관심이 있을 때만 주로 나타나는 편이다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