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뜻이기도 하다. 그동안 인류 유전학이 얼마나 편향적으로 연구됐는지, 그리고 기존에 유럽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약물이 전 인류를 대상으로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 언뜻 무섭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시아인의 다양성은 컸다. 아시아인의 공통 조상 분석 게놈아시아 100K에서 분석한 아시아인의 ...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외계행성이 태양계 행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외계행성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른 방식으로 형성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얼음 결정보다는 금속성 원소들이 뭉쳐져서 행성이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것이다. 웰뱅크스 연구원은 “만약 목성과 같은 태양계 행성에서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적군의 탱크 중에는 진짜인 것도 있지만 나무나 풍선으로 만든 가짜 탱크도 있는데, 기존의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카메라로 상공에서 관측하면 이를 구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진짜 탱크와 가짜 탱크는 소재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스펙트럼이 다르기 때문에, 초분광카메라로 ...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클론 전쟁’ ‘반란군’ 같은 애니메이션 시리즈, 소설과 만화 시리즈 등이 들어간다. 기존 세계관을 좋아했던 팬 중에는 확장 세계관 폐기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 세계관이라는 것은 창작자만이 아니라 팬과 함께 만들어나가는 것이므로 팬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느낄 만도 하다. ...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때 2+3n처럼 덧셈이나 곱셈을 이용한 점화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기존 연구를 통해 수의 개수가 적다면 다항식 수열을 찾는 것이 어렵고, 충분히 큰 개수의 집합이라면 늘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수의 적고 많음을 나눌 기준을 정의하지 못했죠 ... ...
-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소프트로봇은 재료 자체의 특성에 의존하죠. 아직은 실생활에 잘 쓰이지 않지만, 기존 로봇이 자동화하지 못했던 분야에서 소프트로봇의 잠재력이 크답니다. * 액추에이터 : 액체와 기체의 압력이나 전기 등을 사용해 기계를 움직이는 장치.* 패러다임 : 어떤 한 시대에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베이스 에디팅 기술로 A-T 염기쌍이 G-C 염기쌍으로 변환됐고, 변환 효율이 최대 50%로 기존의 유전자 교정 기술보다 현격히 높아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doi: 10.1038/nature24644 하지만 베이스 에디팅 기술도 한계는 있다. 가령 아데닌(A)을 티민(T)으로 바꾼다든지, 시토신(C)을 구아닌(G)으로 바꿀 수 없다. ... ...
- [수학뉴스] 12세 소년의 발견!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점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이후 방학 동안 더 쉬운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결국 기존에 알려진 방법보다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을 찾아냈습니다. 치카가 찾은 방법은 정수 n의 일의 자릿수에 5를 곱한 뒤 일의 자릿수를 뺀 나머지 수와 더하고, 나온 값이 한 자릿수가 될 때까지 이 과정을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4일 논문 공유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했어. 이 공식을 따르면 기존에 21살쯤이라고 생각했던 내 나이는 48살이 돼. 어떻게 그렇게 되냐고? 이걸 이해하려면 먼저 후성유전학 시계가 뭔지 알아야 해. 비인간 동물들도 후성유전학 시계 따른다후성유전학 시계를 따르는 건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8종에 달하는 귀뚜라미의 소리를 수집한 두 친구는 귀뚜라미 소리를 한글로 옮겼어요. 기존의 도감보다 더 정확하게 귀뚜라미의 소리를 한글로 나타내기 위해, 훈민정음에 수록된 과거의 음소를 분석해 적용했지요. 곽수진 학생은 수집한 귀뚜라미의 소리를 리믹스해 음악으로 들려주기도 했답니다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