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몬스터를 잡아라!] 방어와 공격을 한 번에! 뺄셈·5 변신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변신 몬스터의 이마에서 김이 나요. 게임이 잘 풀리지 않아서 화가 났나봐요. 숫자 5
안
에 숨은 5 변신 몬스터는 눈을 감고 쉬고 있네요. 변신한 몬스터들을 잡으러 함께 떠나볼까요? 뺄셈한 결과가 5가 되는 두 수를 찾는 게임이에요. 먼저 게임판에 1부터 10까지의 수가 적어도 하나씩은 있도록 칸을 ... ...
[인터뷰] 논리적인 수학과 섬세한 베이킹의 만남, 조한빛 파티시에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후회한 적은 없으세요? 현재에 만족하기 때문에 그런 적은 없어요. 오히려 그 일들을
안
해 봤다면 후회했을지도 몰라요. 예를 들어 직장 생활도 저에게 꼭 필요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해요. 큰 회사에서 다양한 사람과 함께 일하면서 ‘내가 만약 사업을 한다면 회사를 이렇게 꾸려야겠구나’라는 걸 ... ...
뚜껑이 펜
안
에 쏙~ 마를 걱정 없는 컴퓨터용 사인펜!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시험 종료까지 5분! 컴퓨터용 사인펜을 들고 OMR 카드에 빠르게 마킹하려는데으악! 사인펜이 뻑뻑해요. 뚜껑을 제대로 닫지 않아 잉크가 마른 거예요. 여러분은 이런 아찔한 경험이 없으신가요? 학생 때 이런 일을 자주 겪었던 기자는 컴퓨터용 사인펜 서너 개를 항상 필통에 넣고 다녔어요. 그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숨바꼭질 게임 2. 승부는 60초
안
에! 함수로 게임 만들기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숨바꼭질 게임은 술래가 숨어있는 친구를 찾는 간단한 규칙의 게임이지만 코드는 복잡합니다. 오늘은 60초
안
에 술래가 모든 플레이어를 잡으면 술래가 이기는 숨바꼭질 게임을 만들어 볼게요.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자라면서 치아 개수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더구나 몸의 뼈는 같은 종
안
에서도 개체 간 차이가 있어요. 사람만 하더라도 덩치나 뼈의 강건함이 사람마다 다르죠. 따라서 대퇴골의 강건함이 다르다고 해도 ‘공룡의 형태가 다르다’는 사실을 충분히 입증하는 증거로 보기 어렵습니다. Q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다른 분야에도 두려움 없이 접근했다”고 했다. 처음 읽어본 논문의 30%만 이해해도 그
안
에서 재밌는 이야깃거리를 찾을 수 있다면서. “예를 들어 ‘모기가 어떤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물까?’하는 생각은 해볼 만하잖아요. 그런데 혈액형하고 별 상관이 없다는 실험 결과를 쉽게 찾아볼 수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30억 쌍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유전체 중 유전자는 2%도
안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암호화 영역’이 차지하고 있다.최근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은 이 영역에 주목했다. 자폐와 관련된 유전 변이가 비암호화 영역에 있다는 것을 찾아 7월 15일 국제 학술지 ... ...
[이달의 꼼지락] 투명한 액체가 순식간에 갈색이 되는 마법!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월입니다. 학생들은 새 학기를 맞이하는 시기죠. 두 달도
안
되는 여름방학이지만, 그사이 못 알아보게 달라진 친구 한둘은 꼭 있습니다. 다이어트에 성공하거나, 공부를 잘하게 되거나요. “너 어떻게 갑자기 이렇게 변했어?”라고 물어보면 친구는 묘한 미소를 지을지도 모릅니다. 이 친구에게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편리함을 누리게 됐지만,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철덕들은 철도의 역사가 사라짐을
안
타까워하고 있습니다.이들은 왜 철도를 사랑할까요. 철도에 빠진 계기를 묻자 현일 씨는 말합니다. “거대한 쇳덩어리 구조물이 엄청난 동력으로 무거운 물건들을 끌고 가면 가슴이 뛰어요.” 한결 군이 덧붙였죠. ... ...
[DGIST@융복합파트너] 배터리의 한계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덴드라이트가 생기다 보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해질에 대류를 일으킬 방법을 고
안
해내기도 했다. doi : 10.1002/adfm.202204052“MFI 기기도 결국 덴드라이트가 어디에, 어떻게 생기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겁니다.”이 교수는 전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 배터리를 뜯지 않고 볼 수 있으면 덴드라이트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