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정하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어떤 흐름이나 이야기로 정보를 줄 건지 정해요. 그 다음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를 편집하고 디자인해요. 마지막으로 처음의 의도대로 인포그래픽이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면 인포그래픽이 완성돼요. 제작과정을 통해 살펴본 것처럼, ...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오류가 나더라도 원래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만약 전송된 정보가 1010010이라고 하면, 정해진 계산 값에 각 자릿수를 대입해 C₄자리만 잘못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표3). 이처럼 해밍 부호를 이용하면 적어도 일곱 자리 중 한 자리 오류는 찾아낼 수 있다. 이처럼 정보 교류 중 발생하는 오류를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옮겨보며 그 규칙을 찾아 구할 수 있다. 바늘에 꽂혀 있는 원판의 개수를 n이라고 가정해 보자.n=1인 경우 : 1=2¹-1(회)n=2인 경우 : 3=2²-1(회)n=3인 경우 : 7=2³-1(회)n=4인 경우 : 15=2⁴-1(회)…n=63인 경우 : 9,223,372,036,854,775,999=${2}^{63}$-1(회)n=64인 경우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화산재 속으로 발이 푹푹 빠져 힘이 들었다. 다 오른 뒤에 휴대전화 GPS로 고도를 측정해 보니 해발 약 2600m였다.작은 오두막처럼 생긴 무인관측소 안에서는 광학카메라와 적외선카메라가 나란히 정상을 주시하고 있었다. 날씨가 좋지 않을 때나 밤에도 적외선카메라로 가스나 용암의 온도를 알 수 ...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날카로운 선분이 다른 도형과 부딪힐 경우 다칠 수 있으므로, 여성의 행동 지침은 법으로 정해져 있다.1차원 선분으로 표현되는 여성과 달리 남성은 넓이를 갖는 평면도형이다. 하층 계급은 이등변삼각형, 중간계급은 정삼각형, 전문직 종사자는 정사각형이나 정오각형, 귀족은 정육각형 이상의 ...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해킹 시도를 차단하는 방법이다. 큰 기업은 보통 서버를 관리하는 권한을 가진 사람이 정해져 있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 같은 인증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아이디와 비밀번호도 어렵지 않게 해킹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를 설계할 때부터 휴대용 저장장치(USB)에 담긴 공인인증서를 통해야만 접속할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있죠?김윤영 교수 : 우리는 그림을 그릴 때 붓을 이용하잖아요? 즉 붓의 시작점과 끝점을 정해 주고, 점을 최단 거리로 잇는 선을 그리도록 하는 위상 최적 설계를 하는 거예요. 재료를 가장 적게 써서 튼튼한 구조물을 만드는 것도 최적화지만, 최단 거리를 구하는 것도 최적화거든요.예를 들어 땅에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도시락 안에 같은 크기의 김밥이 가득차 있는 정도를 기준으로 삼아 1이라고 했을 때, 정해진 공간 안에 물체가 들어차 있는 정도를 말한다.표에서 도시락의 크기는 김밥의 개수가 늘수록 자연스럽게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밀도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1개를 포장할 때보다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조절한다. 텅스텐 조명은 3200K, 촛불 2200K 등 이미 여러 광원이나 조명에 대한 색온도가 정해져 있어,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쉽게 색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둑어둑한 저녁을 만들고 싶으면 조명을 2200K으로 맞추는 식이다. 실제 저녁과는 다른 조명이지만 스크린에는 훨씬 더 실감나는 저녁이 ... ...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뭐가……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주파수가 다 정해져 있다”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모든 발음에 대한 주파수를 다 측정해 놓은 자료라도 갖고 있나 싶었는데, 여기서부터 슬슬 설명이 이상해졌습니다. ‘고’ 자는 토(土) 기운의 주파수를, ‘호’ 자는 불 기운의 주파수를, ‘관’ 자는 복모음이라 아주 강한 물 기운의 주파수라고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