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개발한 돔이다. 텐세그리티와 비슷한 구조를 띄고 있으나, 돔(반구) 형태로 그 모양이 정해져 있다."압축재는 장력의 바다에 띄운 작은 섬과 같다." _ 케네스 스넬슨 한편 건축에서 쓰이는 여러 가지 구조 중에서도 텐세그리티는 다른 여러 구조물과는 다른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건축 ... ...
- 마틴 루터 킹 연설문이 DNA 속에 ‘쏙’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길이의 염기서열 정보에 대응시켰다. 예를 들어 문자 ‘ㄱ’을 염기서열 ‘TAGAT’이라고 정해 DNA에 기록하는 식이다. 그 뒤 DNA 조각을 25개 염기 단위로 중첩시켜서 전체 정보를 끊어지는 부분 없이 끝까지 이었다.연구팀은 이렇게 ‘기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없도록 하는 데 주의를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표현될 수 있는 문제는 계산이 가능하다는 걸 보였다.또한 튜링은 임의의 알고리즘이 정해진 시간 안에 종료되는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계산 불가능한 예임을 증명했는데, 이는 ‘튜링의 홀팅 문제’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것은 결국 힐베르트의 문제에 대한 반례가 된다. 지금은 힐베르트의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아무렇게나 자리잡은 것이 아니라, 원인 x, y와 결과 z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함수 값들을 그래프로 그리면, 위의 곡면과 같은 도형이 그려진다. 이때 점 A에서 점 A´로 z값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을 ‘특이점’, 또는 카타스트로프 지점이라고 한다.카타스트로피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167초나 되기 때문에 지구상에서 무인항공기를 조종하는 방식으로는 곤란하다. 미리 정해진 방식의 비행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자율화, 자동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탐사한 결과를 탑재 컴퓨터에 내장하고 지구와 통신이 가능한 시간대에 전송해야 한다. 또 지구에서와 같은 GPS 장비를 사용할 수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원하는 학과가 어떤 계열인지 확인하면 계열을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계열을 정해보자!자, 이제 ‘과연 나는 어떤 계열을 선택해야 할까’가 문제일 것입니다. 인문과 자연의 큰 틀은 성격이 너무 다른 길이기 때문에 신중히 잘 선택해야 합니다. 학과는 나중에 원서 쓸 때 바꿔도 큰 무리가 ...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연주할 것인가가 재즈의 관건입니다. 즉흥 연주라고 해도 아무렇게나 치는 건 아니에요. 정해진 코드 안에서 자유롭게 연주하는 거예요. 즉, 재즈란 ‘틀 안의 자유로움’이에요.예를 들어 한 마디에 4개의 코드를 배열한다고 할 때 몇 가지 구성이 나올까요? 4!=4×3×2×1=24가지입니다. 즉, 한 마디 ... ...
- [체험] 친환경자동차 연구의 기본은 수학! 자동차안전연구원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달릴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들을 모은 뒤, 그 중에서 탄소 성분의 양만 측정해서 컴퓨터로 연비를 계산한다. 생각보다 복잡한 식이 나와서 어려웠지만, 자동차 연구에서 수학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었다.이렇게 대다수의 실험을 할 때 수학이 필요하다니 정말 수학을 잘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무한한지를 나눠서 생각해야 합니다.먼저 손님의 수가 유한할 때를 상상해 봅시다. 정해진 1명의 새 손님이 도착하면, 아래 ➊번 그림과 같이 1 번 방 손님은 2번 방으로, 2번 방 손님은 3번 방으로 이동을 시킵니다. 모든 손님들에게 옆방으로 이동을 부탁하는 거죠.새 손님이 n명이라면 n개의 빈 방이 ... ...
-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는 야자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2월호에 발표했다.생명체의 수명은 세포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에 따라 정해진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동물보다는 식물이 수명이 길다. 식물은 동물과 달리 살아 있는 동안 끊임없이 조직과 기관을 발달시키기 때문이다.톰린슨 교수팀은 지금까지의 야자수 연구에 주목했다. 야자수에는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