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맞춰 완성했다. 인공 게놈을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은 얼마만큼 정확한 순서대로
DNA
조각들을 잘 꿰맞추느냐에 달려 있다.연구팀은 이 게놈을 마이코이즈의 사촌 격이며 살아 있는 카프리콜룸에 이식했다. 그 결과 카프리콜룸은 원래 가지고 있던 게놈이 인공 유전자로 대체됐지만 정상적으로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밝힐 수 있는 근거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최근 만들고 있는, 전사자 유해와 유가족의
DNA
샘플의 데이터베이스가 거의 전부입니다. 신원 확인은 자료와의 싸움과도 같습니다.” 이어 그는 “해외에 비해 국내에는 유해 발굴과 감식에 꼭 필요한 법의학과 체질인류학을 전공한 기초과학자들이 턱없이 ... ...
광집게로
DNA
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곱하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세포들 사이의 결합력과
DNA
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또는 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는 셈이다.노벨상도 인정한 빛의 집게광집게는 원하는 모양의 마이크로 구조를 만드는 데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DNA
분석도 더 이상 생물과학의 영역이 아니다. 나노구조 반도체공학을 이용하면 인간의
DNA
를 하루 만에 분석할 수 있다. 이렇듯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나노응용공학은 혁명을 가져다주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회사들이 뒤쳐지지 않기 위해 나노공학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취업의 길은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물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물리전자’입니다. 최근에는 인체 속 병균을 발견하고,
DNA
나 암을 추적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칩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요.”물리전자연구실은 최근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나노 소자를 바이오 센서에 응용하는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박 교수는 나노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나눠서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철새의 계통을 연구하기 위해 꼭 필요한
DNA
분석실과 구조된 새가 쉴 수 있는 공간도 처음 마련했다. 채희영 센터장은 “새로 짓는 센터가 완공되면 센터 소속 연구자들 외에 철새 연구를 하고 싶은 과학자들의 방문 연구가 가능해져 철새 연구가 더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어디에서 어떻게 전래가 됐는지 알기가 어렵다”며 “고추 품종마다 유전정보(
DNA
)를 분석하고 서로 비교해 다른 품종 간의 유전적 연관을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한국 고추가 어떻게 전래됐는지 정확한 경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갓 벗어난 곤충이 날개를 말리고 비행을 준비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그는 EMS라는
DNA
를 손상시키는 약물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 그 뒤 돌연변이체 자손을 얻어 이 녀석들이 우화할 무렵이 됐을 때 24시간 내내 깜깜한 곳으로 옮겨놓았다. 24시간 주기의 생체시계는 ... ...
4000년 전 그린란드인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알아 낸 정보를 좀 더 이야기해 주세요.저의 게놈은 현생인류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람의
DNA
를 분석해 나온 것이에요. 덕분에 제가 A형 혈액과 갈색 눈, 갈색 피부, 숱이 많은 검은 머리카락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지요. 게다가 삽 모양의 앞니를 갖고 있었으며, 귓병에 잘 감염되는 체질임을 ... ...
귀는 속여도 코는 못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식별하는 데 손가락 지문이나 홍채처럼 확실한 ‘물증’은 없다.
DNA
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조차 지문과 홍채 패턴은 서로 다르다. 하지만 지문을 남기지 않기 위해 장갑을 끼고 선글래스를 꼈다면 어떻게 될까. 최근 영국 배스대 전기전자공학과 애드리언 에반스 교수팀은 코로 사람의 신원을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