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나는 반도체,
DNA
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한몫을 하고 있다. 실제로 연구단은 2010년부터 시작될 2단계 연구과정에서 나노와이어와
DNA
분자를 붙이고 여기서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 시도가 성공하면 생명공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도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황 교수는 보고 있다. 2013년 3단계 연구과정에 ... ...
'왕실병' 유전적 비밀 알아냈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를 괴롭혔던 유전병이‘혈우병B’라는 사실이 최근 이 왕조의 자손에게서 추출한
DNA
샘플에서 밝혀졌다. 혈우병은 혈액 응고인자가 부족해 출혈이 멈추지 않는 유전병으로, 영국 빅토리아 여왕 자손 중에 환자가 많았다.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은빛은 구아닌(guanine)에서 유래한다. 구아닌은 핵산의 일종이며, 사람의 유전물질인
DNA
의 재료가 되는 물질이다. 그런데 구아닌의 화려한 색깔 이면에는 한 가지 위험요소가 숨어 있다. 구아닌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낚시로 끌어 올린 싱싱한 은빛 갈치는 일급 생선회가 된다. 이때 ... ...
DNA
가 만드는 삼차원 도형!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당기는 힘과 누르는 힘을 전체 결정에 골고루 나눈 매우 안정한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
DNA
가닥 끝 부분은 접착제처럼 끈끈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른 삼각 결정구조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만들어진 큰 분자 결정은 팔면체, 정육면체, 사다리꼴입니다.연구팀은 이 분자 모형은 다른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DNA
로부터 전사 되며 덜 성숙한 형태로핵에서 세포질로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DNA
에서 전사된 덜 성숙한 마이크로RNA는 머리카락에 꽂는 가느다란 핀과 닮았다. 핵 안에서 드로셔(Drosha)라는 효소에 의해 잘려 머리핀 구조만 남은 채 핵을 빠져나와 세포질로 이동한다. 그 뒤 다이서(Dicer)라는 효소에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분자육종’이라고 부른다. ‘분자표지’나 ‘분자육종’에서 ‘분자’는 유전자(
DNA
)를 뜻한다. 분자육종은 전통 육종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최근 육종학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산 고추 분자표지 첫 수출역병은 탄저병과 흰가루병, 세균성반점병과 함께 고추의 대표적인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미토콘드리아
DNA
를 추출해 서로 비교했다. 또 이를 현생 인류 50명의 미토콘드리아
DNA
와 다시 비교하며 유전자의 차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은 유전자의 다양성이 현생 인류의 약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유전자의 다양성은 유전학 분야에서 번식하는 개체 수를 추정하는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이 RNA로 이뤄져 있는데 비해 B형간염 바이러스는
DNA
로 구성돼 있다.
DNA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RNA 바이러스보다 구조가 안정적이다.A형간염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돼도 세포질에 머물러 있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이 들어 있는 핵 속까지 파고들어 간다. 이런 이유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루한 사람과 어울리지 마라|제임스 왓슨 지음 | 김명남 옮김 | 이레 |486쪽 | 2만 5000원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혔던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는 새 건물로 이사를 갔고 그 자리는 사회과학과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쓰고 있다. 지금도 변하지 않은 것은 왓슨이 크릭과 매일 점심을 먹었던 선술집, ... ...
유전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
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DNA
의 양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
DNA
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과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뤄진다.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