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뉴스
"
분야
"(으)로 총 14,328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중국과학원 연구 성과 세계1위" 서울대 68위·KAIST 73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연구성과를 발표한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논문 발표 비중과 기여도, 공저자수, 학문
분야
별 가중치 등을 분석해 기관별 연구성과를 ‘FC(Fractional Count)’ 점수로 변환한 지표다. 82개 학술지는 독립적인 과학자 패널과 네이처 인덱스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선정한다. 1년 기준으로 분석한 ... ...
안산·김해·진주·창원·포항·청주 연구개발강소특구 첫 지정···양산만 탈락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키우겠다고 제시했다. 이번에 탈락한 경남 양산은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을 특화
분야
로 제출했지만 위원회 심사를 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위원회의 심사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후 조건을 충족할 경우 다시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에 지정한 6개 ... ...
[의학게시판] 서울성모병원 유방암센터 재 오픈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환경보건과학과를 설립했으며, 지난해 고려대의료원과 업무협약도 체결해 환경보건
분야
뿐만 아니라 상호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협력관계를 공고히 이어가고 있다. ■ 유전자교정기술 기업 툴젠이 19일 코스닥상장 바이오신약개발기업인 제넥신과 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합병 후 존속회사는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된다. 기생벌 인간 위주의 경제적 관점으로 기생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활용한
분야
는 농업이다.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그 것인데 기껏 몇 마리 잡아먹는 포식보다 전부를 몰살시킬 수 있는 기생을 주로 사용한다. 자연 속에서 자연스럽게 운영되는 먹이 사슬인 기생을 이용한 생물적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보완해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 5월호에 실렸다. 지난달 27일 특허 등록을 마쳤다. 박찬우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미세수중로봇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 ...
미래 국방 원천기술 R&D로드맵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위해서는 국가 과학기술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국방
분야
와 협력을 통해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R&D사업을 운영해 과학기술과 국방 간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 ...
찜찜한 비스페놀A 대체할 고강도 바이오플라스틱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기존 비닐보다 오히려 1.75배 질긴 바이오플라스틱을 개발하는 등 친환경 플라스틱
분야
에서 성과를 내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3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기술 숨은 실력자 캐나다와 AI·바이오 협력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송 협력관은 “캐나다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분야
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등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강국”이라며“이번 공동위를 통해 양국이 인공지능은 물론, 청정기술, 항공우주, 인력교류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20~30대 급증 '난소암'…"증상 땐 이미 '3기 이후'"
연합뉴스
l
2019.06.19
013년부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자궁암과 난소암이 주 진료
분야
다. 서 교수는 대한부인종양학회 사무총장으로 활동 중이며, 국제학술지 '부인종양학저널'(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편집위원도 맡고 있다 ... ...
산림황폐 없고 온난화까지 해결···'강한' 3세대 바이오매스에너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이 생물의 이름은 ‘미세조류’다. 미세조류는 2000년대 이후 온실가스 저감과 에너지
분야
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장용근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도 미세조류 연구를 진행한 팀 중 하나다. 지난 2010년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이전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