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0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즈마 난류와 밀폐 이론 전문가 함택수 서울대
교수
'찬드라세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함택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 서울대 공대 제공 함택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가 플라즈마 분야 3대 학술상으로 꼽히는 ‘찬드라세카상’을 수상했다. ...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해 박현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
가 한국 처음으로 찬드라세카상을 받았다 ... ...
파이(π) 값 소숫점 아래 62조8000억 번째 자리까지 알아냈다…세계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억 자릿수까지 계산하며 처음으로 원주율의 소수점 1조 자리 시대를 열었다. 당시 가나다
교수
팀은 병렬 슈퍼컴퓨터인 히타치 SR800/MPP를 사용해 600시간(25일) 만에 계산을 끝냈다. 이후 2011년 일본의 회사원인 곤도 시게루가 자신이 직접 조립한 48TB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개인용 컴퓨터와 미국 ... ...
[카드뉴스] 무더위에 견디도록 진화한 인체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옷이 없으면 20℃만 돼도 밤을 견디기가 어렵죠. 옥스퍼드대 생리학과 아쉬크로프트
교수
는 인체에 남아 있는 진화의 흔적들을 제시했습니다. 인간 피부에 2백만개 정도 있는 땀샘은 몸을 효율적으로 식혀줍니다. 털이 없는 매끄러운 피부는 땀이 쉽게 증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몸에 비해 팔, 다리가 ... ...
"자라면서 없어지는 ADHD, 10%에 불과"
연합뉴스
l
2021.08.17
전문의이자 시애틀 아동연구소(Seattle Children's Research Institute) 연구원인 마거리트 시블리
교수
연구팀은 아동기의 ADHD는 대개 청년기에 들어서면서 간헐적으로 증상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약 90%는 잔존 증상(residual symptom)이 계속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 리가 16일 보도했다. ADHD ... ...
"올해가 몇 년도 인가요?" 질문으로 경도인지장애 예측 가능
연합뉴스
l
2021.08.17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 진행 정도를 늦추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원
교수
는 "인지기능 혹은 우울증 단계를 평가하는 다양한 설문 방법은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간단한 질문 하나로도 치매 전 단계나 우울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 ...
"새 변이가 코로나 상황 1년 전으로 되돌릴 수 있어" 전문가들 영국 정부에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6
신뢰를 다시 되찾을 방법 "이라고 말했다. 세인트앤드루스대 심리학과 스티븐 라이처
교수
는 “장기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고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적 변화를 도입해야 한다”면서 “이번 감염병 사태로 우리 사회의 많은 결함이 드러났고 더 이상 그것을 ... ...
5G·6G 안테나 시장, 산학협력으로 돌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주요 5G와 6G 안테나 부품을 개발해 생산한다는 목표다. 홍원빈 포스텍 전자공학과
교수
는 “밀리미터파를 비롯해 잠재성을 많이 지닌 고주파수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해 5G 분야 국가 핵심기술을 강화하고 미래 6G 기술을 선도할 중요한 컨소시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화이자 백신 5~6배 과다 투여 문제 없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전신 근육통 등이 나타날 위험이 정량을 맞은 사람보다 더 높다"고 말했다. 버터리
교수
는 "백신을 권장량보다 많이 맞는다고 해서 면역력이 특별히 강하게 생기는 것은 아니다"라며 "제약사에서 백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용량에 따른 임상시험을 진행해, 최소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 ...
'정위기능 신경외과학'으로 파킨슨병과 싸운 정상섭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제공 국내 뇌 정위 기능 신경외과의 개척자로 평가받는 정상섭 연세대 의대 명예
교수
(차의과학대 신경외과
교수
)가 14일 오전 1시32분께 폐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83세. 서울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5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1975∼1978년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에든버러대 유학 시절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기 방랑자 털매머드의 생애 기록된 상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이탈했다. 28세 때는 영양 부족으로 굶어 죽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러
교수
는 “이번 추리 결과는 환경 변화에 직면한 지구와 생태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한 예”라고 말했다 ... ...
이전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