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어린이는 코로나19에 걸려도 비교적 안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어린이 코로나19 감염자가 속출할 수 있다. 제임스 캠벨 미국 메릴랜드의대 소아과
교수
는 “어린이는 독감, 홍역, 디프테리아 등 다른 감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은 받고 있지만 코로나19 백신은 맞지 않고 있다”며 “이 때문에 어린이 층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우주에 거대한 태양광발전소 건설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발사해 무선 전력 전송 첫 테스트에 나선다. 해리 앳워터 칼텍 응용물리학·재료과학과
교수
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에너지 자원인 태양광을 우주에서 얻는 것은 가장 혁신적인 에너지 확보 방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미 해군, 우주 태양광 가능성 첫 입증...일본·유럽 등도 ‘눈독’ ... ...
[과학게시판] ‘IBS 플랫밴드 콘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연구성과가 공유된다. 응집물질 이론 연구 대가인 암몬 아하로니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교수
등 국내외 연사 17명이 발표자로 나선다. 콘퍼런스는 홈페이지(https://ibs-conference.org/2021/fb/)를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이재종 연구위원·임형준 책임연구원 팀이 선폭 400nm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수 초 만에 디지털 지도 그리는 AI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다비오 대표다.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황재윤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
팀과 IT기업 다비오가 공동으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흐릿한 항공 사진에서 건물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디지털 지도 생성 인공지능 신경망 모듈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를 ... ...
구부리고 겹쳤더니 새 기능 쏙쏙... '변신의 귀재' 2차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주목했다. 알리 자베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부
교수
와 김형진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DARPA의 지원을 통해 2차원 반도체인 흑린을 구부리는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적외선 파장대를 검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한 센서를 개발해 11일(현지시간) ... ...
[의학바이오게시판] 용인세브란스병원 '로봇프로세스자동화 솔루션'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이상의 업무 효율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삼성서울병원은 박기태 치과
교수
가 '소아청소년을 위한 교정치료의 ABC(대한나래)' 제3판을 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책은 2009년 성장기 교정치료 길잡이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처음 출간된 후, 꾸준히 독자의 사랑을 받아 2016년 제2판에 ... ...
“백신접종률 높지만 전파 확산되면 백신 내성 코로나 변이 출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이번 연구와 무관한 마이클 레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생물통계학 및 역학 부
교수
는 “이같은 연구결과는 사실 놀라운 게 아니다”라며 “백신 접종률이 높아질수록 바이러스는 백신 유도 면역반응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
2021.08.12
회사를 설립한 이후 2009년 펜실베이니아대는 그에게 다시
교수
직을 주었지만 겸임
교수
였을 뿐이다. 카리코는 더이상 대학에서 연구하지 않는다. 그는 망가진 대학 시스템을 떠나 바이온텍이라는 회사에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카리코가 노벨상을 수상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 그 누구도 ... ...
석유 고순도로 정제하는 저에너지·저탄소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분리막보다 표면적이 수십 배 넓어 분리 효율이 높은 차세대 분리막으로 꼽힌다. 고
교수
는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한 뒤 이를 분리하고 정제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드는 석유화학 산업이 발달한 만큼 이번 기술은 석유화학 산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직결될 것”이라며 “용매 ... ...
소변 1mL 극소량으로 전립선암 진단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2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강성구·심지성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와 협력연구를 통해 소변에 대단히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엑소좀 내 전립선암 관련 마이크로RNA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외 소포체로 불리며 세포간 또는 세포와 ... ...
이전
886
887
888
889
890
891
892
893
8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