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소수의 세계를 탐험했습니다. 소수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아내는 데 주목한 겁니다. 결국 가우스는 이 소수의 개수가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어 어떤 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어림잡아 구하는 공식 Li(x)를 만들었습니다. 이 공식은 ...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기로, 돼지가 가축화되기 전부터 이미 유럽과 아시아 멧돼지가 달라졌다는 뜻이지요. 결국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멧돼지를 가축화하면서 다른 종류의 가축 돼지를 얻게 됐답니다. 우리나라 돼지는 어떤 돼지? 아마 대부분의 친구들이 ‘돼지’란 단어를 들으면 분홍색 가축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계속할 것인지 판단한다. 뇌에서 이런 보상 회로가 쾌락을 위해 과도하게 반복될 경우 결국 중독이 나타난다. 김 교수는 “특히 인위적인 자극(게임, 약물 등)은 자연적인 자극(음식 섭취, 운동 등)보다 도파민을 더 많이 분비하기 때문에 중독이 일어나기 쉽다”고 말했다. #2게임을 하면 즐겁다. ...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뜻입니다. 또 HT042를 함유한 제품을 연구팀의 실험처럼 6개월간 복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100만 원 이상의 큰 비용이 발생합니다. 인터넷, 전단지 등 광고에도 키 성장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제품들이 정말 많습니다. 대개 단기간에 키가 확 자란다거나,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과정을 정리했다. 그는 “오답을 바로 정리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습관처럼 미루게 되고, 결국 또 틀리게 된다”며 “꾸준히 오답을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틀린 문제에 대한 근거를 찾는 일도 중요하다. 그는 “틀린 문제는 바로 분석해 틀린 이유를 머릿속에 정리해뒀다”며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중국어 5년 배우고 중국 유학 결심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것은 수능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하지만 부모님의 생각은 완고했고, 결국 한국에서 일단 대학에 입학한 뒤 중국 유학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우한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증명서와 HSK(한어수평고시·중국 정부의 지원 아래 베이징어언대가 개발한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것입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양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유전자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필자가 속한 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는 2014년 한국인의 유전체를 더욱 정밀하고 정확하게 해독해 세계 최초로 한국인 표준유전체지도(KOREF)를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식탁에 놓고 한 손으로 누르고 한 손으로 끝을 쳐보고, 간격을 바꿔가며 쪼개봤지만 결국 답은 찾지 못했습니다. 주방만 온통 스파게티 면으로 더러워졌을 뿐이었죠.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라고 꼽히는 파인만이 풀지 못하는 스파게티 문제라니! 흥미를 느낀 학자들은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그래서 ‘많은 말을 남길수록 적은 것을 발견할 것’이라는 생각을 극한으로 보내면 결국 ‘모든 것을 남기는 방법은 아무 말도 남기지 않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른다는 거다. 이 답은 ‘최대한 많은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가 남기는 조건들의 집합으로 공집합을 택한다’는 지극히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마니아들이 작은 규모의 전기항공역학 추진 시스템 장치들을 개발했고, 그 장치들은 결국 작동했다. 그들의 활동은 우리 연구팀의 초기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그들의 장치들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전기항공역학적 반동 추진 엔진의 설계를 최적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