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또 칼슘 통로가 열리도록 자극하는 전기적 신호가 10mV(밀리볼트)에서 40mV로 대폭 커졌다. 결국 베타 소단위체 없이는 칼슘 통로가 원활히 열리지 않는 셈이다. 이 내용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8년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809762115 서 교수는 “베타 소단위체와 여기에 PIP2가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식탁에 놓고 한 손으로 누르고 한 손으로 끝을 쳐보고, 간격을 바꿔가며 쪼개봤지만 결국 답은 찾지 못했습니다. 주방만 온통 스파게티 면으로 더러워졌을 뿐이었죠.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라고 꼽히는 파인만이 풀지 못하는 스파게티 문제라니! 흥미를 느낀 학자들은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과정을 정리했다. 그는 “오답을 바로 정리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습관처럼 미루게 되고, 결국 또 틀리게 된다”며 “꾸준히 오답을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틀린 문제에 대한 근거를 찾는 일도 중요하다. 그는 “틀린 문제는 바로 분석해 틀린 이유를 머릿속에 정리해뒀다”며 ...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공부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많이 필요한데, 과학탐구 Ⅱ는 심화 내용까지 공부해야 해서 결국 포기하기로 결정했다”며 “영재학교 출신이다 보니 국어와 영어에 약점이 있어 여기에 투자할 시간도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수시에 대한 고민도 하지 않았다. 수시 전형에 필요한 비교과 영역 활동을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소수의 세계를 탐험했습니다. 소수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아내는 데 주목한 겁니다. 결국 가우스는 이 소수의 개수가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비슷한 형태로 계단 모양을 그리며 커진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어 어떤 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어림잡아 구하는 공식 Li(x)를 만들었습니다. 이 공식은 ...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기로, 돼지가 가축화되기 전부터 이미 유럽과 아시아 멧돼지가 달라졌다는 뜻이지요. 결국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멧돼지를 가축화하면서 다른 종류의 가축 돼지를 얻게 됐답니다. 우리나라 돼지는 어떤 돼지? 아마 대부분의 친구들이 ‘돼지’란 단어를 들으면 분홍색 가축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선발비율이 30% 근처에 존재해 현재와 비슷한 개편안이라는 평가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서울대와 고려대 같이 정시 선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학이 어떻게 정시 비율을 설정하느냐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 수능 출제 과목 구조 및 출제 범위 변화2022학년도 수능 과목구조 및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엄청난 굉음이 발생하는데, 그 에너지가 워낙 커서 주변 건물의 유리창을 깰 정도였어요. 결국 2003년, 콩코드는 더 이상 비행을 할 수 없게 되었답니다. (*소닉붐 비행기가 날면 비행기와 공기가 부딪히며 생긴 충격파가 사방으로 동그랗게 퍼져나간다. 만약 비행기가 초음속 비행을 하면 충격파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문제예요. 그는 결국 빨간 장미가 ‘모든 까마귀는 검다’를 입증한다고 결론을 내렸답니다. 한편, 이처럼 입증이 갖고 있는 모호함 때문에 과학을 반증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운동도 있었어요. 검지 않은 까마귀가 ‘모든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정확한 구역도 제대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어요. 그에 따른 오류나 실수도 발생했지요. 결국, 천문학자들은 1922년 열린 제1회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별자리를 통일시키기로 했어요. 그리고 1928년에 88개의 별자리를 공개했지요. 우리에게 친숙한 바로 그 별자리예요. ●변광성 : 시간에 따라 밝기가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