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적"(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들은 어떻게 공부하고 시험을 치를까.지금까지 개발됐거나 개발 중인 인공지능기술은 목적에 따라 크게 언어 지능, 시각 지능, 학습 지능, 뇌인지 컴퓨팅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수능로봇의 인공지능은 대부분 언어 지능에 해당한다. 이들은 유사한 과정으로 문제를 풀이한다. 먼저 문제를 읽고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무너져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 가혹한 재난봉사단의 목적지는 카트만두보다 지진의 진앙에 더 가까운 다딩 지역이었다. 시골 산간도로에서나 볼 수 있는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3시간 동안 달리면서 기자는 평소엔 잘 하지 않던 멀미를 했다. 하지만 멀미는 시작에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네가 혼자서 해낼 수 있겠지만) 혹시 도움이 필요하니?”라고 묻는 것이 좋다.조언의 목적도 고민해봐야 한다. 상대를 위해 조언 을 하는 게 아니라 내가 뛰어난 것을 자랑하고 싶은 거라면 조언을 하지 않는 게 낫다. 나의 기분을 위한 조언이 상대에게 도움이 될 리 만무하다. 나에게 유용했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회지만, 경쟁보다는 문화교류를 통해 과학 영재들을 글로벌 리더로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통문화를 교류하고, 체육대회와 개최국 문화 및 역사 탐방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또 대회 기간 동안 두, 세 나라 학생들이 한 방에서 생활하며 서로 자연스럽게 친해지도록 한다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내는 길로요트는 목표 지점을 향해 직진하지 않고 지그재그로 움직인다. 물론 요트가 목적지 쪽을 비껴난 방향으로 얼마나 나아갈지, 다시 몇 도만큼 방향을 바꿀지는 모두 ‘계산된 결과’다.경기에서는 목표 지점에 가장 빨리 도착해야 한다. 그래서 전술가는 목표 지점 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가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생존하기 유리한 방향으로 이뤄지지만, 육종은 오로지 인간의 입맛을 만족시키는 게 목적이기 때문. 예컨대, 가까운 친척 간 교배가 계속될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태어나는 등 ‘근교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번식능력이나 질병저항성 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런 근교퇴화는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양항비가 10이라면 엔진은 100kg 정도의 추력만 내면 뜰 수 있다.집 앞에서 바로 날아올라 목적지에 착륙하는 방법은 없을까? 항공공학자들은 수백 명이 한꺼번에 타는 여객기가 수직이착륙을 하는 것은 현재보다 훨씬 효율이 높은 엔진을 개발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엔진의 힘으로만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로저 콘버그 교수가 말했다. 콘버그 교수의 말대로 WSCI는 과학자들 간의 소통을 주목적으로 열린 대회로, 이스라엘 외무부와 과학부, 히브리대가 공동으로 주최했다.대회 기간 동안 17~24세의 젊은 과학도들은 노벨상 수상자들의 강연도 듣고, 소그룹으로 나눠 노벨상 수상자들에게 직접 질문하고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게 자유롭습니다.아직까지는 사람이 드론을 조종하는 단계입니다. 심 교수팀의 목표는 목적지를 설정하면 드론이 스스로 실시간으로 이동경로를 계획해 움직이도록 만드는 것이죠. 드론이 장애물이나 날씨 등을 고려해 어디서 날고 어디서 달릴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면 바람이 불고 장애물이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된다.지연허용망은 원래 히말라야나 아마존, 알프스 산 맥 같은 지구의 오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던 방법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이 방법을 심우주통신에 적용하기 위해 2008년 인공위성 실험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연구 중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탐사선을 달 궤도에 보내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