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풀 수 있는 백도어 제공을 요구했다. 아이폰의 잠금 장치는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
가 섞인 6자리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의 수는 568억 개에 달한다. 아이폰이 암호를 인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2분의 1초이므로 1초에 12개씩 입력하는 게 한계다. 따라서 일일이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비밀번호를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나머지 네 번째 달팽이를 찾고 있었다!이 실험을 통해 필립스는 바위왕도마뱀이
숫자
4를 셀 수 있음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바위왕도마뱀은 과연 몇까지 수를 셀 수 있을까. 궁금했던 필립스는 방에 숨겨놓은 달팽이의 수를 조금씩 늘려가며 실험을 계속했고, 6까지 셀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이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
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
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지금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
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숙련된 지원인력이 도맡는다. 완벽히 분업화가 돼 있는 셈이다. 식당B는 전체 직원
숫자
가 식당A보다 적지만 맛집으로 유명하다. 요리사들도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구조다.비유가 과장 같겠지만 과학계의 현실과 비슷하다. 서울대 자연대는 200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팀 헌트 교수 등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같은 역할을 하는 논리게이트와 유전자 부품은 같은 색으로 표현했다. 유전자회로 아래
숫자
1은 발현을, 0은 억제를 의미한다. 보라색 NOR게이트는 입력 값이 모두 0일 때만 1을 출력한다. 보라색 유전자 역시 노란색과 파란색 유전자 부품의 발현이 모두 억제(0)돼야 발현될 수 있다. 입력 값 A가 발현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섬입니다. 이 숲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고요. 그저 단백질 기계일 뿐이지요. 이 숲의 나무
숫자
를 맞춰볼까요? 이천여 그루 정도일 거예요. 중간에 실패하거나 포기한 개체도 있을 수 있겠지만요.기억하세요? K박사의 연구가 알려진 뒤 가장 많이 제기된 반론은 1차 소화 흡수가 끝난 것을 재섭취한다고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아무
숫자
로 하면 재미가 없잖아요. 등차수열,★ 피보나치 수열 등 다양한 수열을 이용해서 나타냈죠. 그랬더니 피보나치 수열로 했을 때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 완성됐어요.”그런데 잠깐, 애초에 예술가가 위상수학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
로 수학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꾸밀 재료를 준비한다.이 수업에서는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인도-아라비아
숫자
가 여러
숫자
와 경쟁한 결과 편리성과 단순성이라는 장점으로 우리 곁에 남게 됐음을 경험할 수 있다. 학생들은 늘 교과서에 담긴 깔끔하고 정돈된 모습의 수학만 보다 보니 수학은 차갑고 냉정하고 완벽하다고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이야기도 있다. 마치 한국에서 한자로 四(넉 사)와 死(죽을 사)자가 동음이의어라
숫자
4를 좋아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나라 건물에서 4층 버튼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종종 볼 수 있듯이 서양에는 13층 버튼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13일의 금요일’은 특별한 날일까?정말 ‘13일의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