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난포가 부풀어 올라 터지면서 배출된다. 이 흔적을 황체라고 한다. 이 연구사는 “황체의 숫자를 세면 배란된 난자의 수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곤, 다시 수술실을 향해 외쳤다. “난자 네 개 나왔습니다!” 연구원들은 재빠른 손놀림으로 절개 부위를 봉합했다. 난자 공여견의 역할은 이것으로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승리법을 학습하게 했다. 그제야 알파고는 프로기사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승리법을 숫자로 이해할 수 있었다. 스타크래프트에도 딥러닝을 적용한다면 바둑처럼 절세의 고수, ‘알파크래프트’가 등장할 수도 있고, 그게 딥마인드가 목표하는 바다.보이지 않는 정보에 무너질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는 알파고1을 이길 최선의 전략을 찾게 한 것이다. 이런 대결을 100만 번이나 했다.김 숫자는 어마어마해 보이지만, 시간이 더 많이 걸린 것은 기보를 보며 학습하는 과정이다. 학습에 3주나 걸렸다.한 그 정도면 빨리 학습한 것이다. 한때는 너무 학습 속도가 느려서 딥러닝이 사장될 뻔 했다.준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주기가 약 230이면 230개의 숫자는 무작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230개, 적어도 10억 개의 숫자가 나타난 뒤 반복되는 것이니, 난수로 쓸 만하지 않을까?이 알고리즘은 단점이 있지만 계산 속도가 충분히 빨라서 정교한 수준의 난수가 필요하지 않는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현재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판단했어요. 지금은 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써요. 생물의 특징을 숫자로 나타내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 결과로 유연관계가 얼마나 가까운지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가난이나 질병 때문에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자식을 많이 낳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있기 때문이지요.소수는 분수를 위치적 기수법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위치적 기수법이란 숫자가 놓인 위치에 따라 자릿값을 바로 알 수 있는 기수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23에서 1은 백의 자리, 2는 십의 자리, 3은 일의 자리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죠. 소수의 나눗셈은 위치적 기수법의 장점을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 있었다. 연구팀이 혈액 샘플을 채취해 혈구 수치를 쟀더니,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의 숫자가 증가해 있었다. (열심히 훈련에 임한 도마뱀 선수들에겐 미안하지만) 도마뱀의 사지도 해부했다. 근섬유가 비대해져 있었다.단거리 선수들은 속도가 전혀 빨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역시 사지의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무작위로 1억 번쯤 돌리면 모든 수가 나올 확률이 비슷해지지만, 10번 정도만 돌리면 숫자 1만 나올 수도 있다.확률이 기댓값과 일치하려면 무한히 시행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통 사람이 게임을 한다고 하면 시행횟수는 기껏해야 수십 번에서 수백 번이다. 실제 시행횟수가 확률 분포를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닌 것이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p의 크기를 키워가며 이 소수가 되는 숫자들을 찾던 메르센은 p가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만 소수라고 발표한다.나중에는 이것 또한 틀린 것으로 결론이 났다. 1903년에는 p가 67, 1931년에는 p가 257일 때 이 소수가 아닌 것이 밝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바닥에 있는 막대기를 들어 절벽에 숫자 64를 쓰자 공간이 흔들리며 거대한 파도가 밀려들어왔다.“조심해요!”멀리서 오던 파도는 해안선에 가까이 올수록 더욱 거세졌다. 무섭게 달려오던 파도는 결국 눈꽃송이처럼 뾰족뾰족한 프랙탈 구조의 해안선을 집어 삼켜버렸다. 해안선은 감쪽같이 사라져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