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어렵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엉덩이를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없으니 엉덩이의 개수는 ‘
알
수 없음’ 또는 ‘한 개이자 두 개’로 볼 수도 있겠네요.여러분은 어떤 답이 마음에 들었나요? 어떤 것을 고르든 그 답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방식과 기준을 따를 거예요. 최일규 교수님이 “엉덩이 개수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그런데 마리모는 구 모양의 덩어리가 하나의 개체는 아닙니다. 마리모의 단면을 보면
알
수 있듯 실 모양의 녹조류가 모여서 공 같은 모양을 만든 것이죠. 마리모가 구 모양으로 생긴 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 거란 합리적 의심이 들지 않나요? 2단계 케플러 추측으로 푼 마리모 모양의 ... ...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맞았는지 틀렸는지도
알
수 있어서예요. 누군가 자신이 원하는 답을 얻으려고 일부러
알
고리듬을 살짝 바꿔놓을 수도 있으니까요. 장봉수 UNIST 수학과 교수는 “AI가 발전하더라도 미래의 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고, 아주 작은 가능성이라도 실제로 일어날 수 있어서 AI에 모든 결정을 맡길 ... ...
[한페이지 뉴스] 표현하기 힘든 환자의 고통 AI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수준과 AI로 통증을 예측한 결과를 비교해 환자들이 자신의 통증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며 “다양한 생리 지표를 수집하고 학습시키면 낫적혈구빈혈 외에 만성 통증을 일으키는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양식 단지를 지어 대서양 연어를 양식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 국립수산과학원은 대문어
알
을 부화시킨 뒤 99일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또 높은 수온에서도 잘 자라는 김 품종을 개발해 시험하고 있다.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수학자들을 배치해보겠어요! ※ 편집자 주코딩(프로그래밍)의 ‘코’자도 모르는 코.
알
.못. 홍 기자가 수학 문제를 코딩으로 푸는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 나갑니다. 오일러 프로젝트는 수학과 코딩 실력을 모두 키울 수 있도록 2001년에 만든 수학 문제 웹사이트입니다. 홍 기자와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Q 사회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사람들은 유독 인공지능의 위험을 ‘개발자도
알
수 없는 예측 불가능한 위험’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어떤 기계든 예측 불가능한 위험을 일으키죠. 전 이런 표현이 인공지능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외면하고 싶어하는 마음처럼 느껴져요. 인공지능을 너무 새로운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런 시도가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오직 당사자만이
알
수 있는 여러 불편함이 여전히 기사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을지도 몰라요. 다만, 이런 시도를 통해 기자와 독자가 그간 몰랐던 어려움을 함께 공부하고 개선책을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된다면 기쁘겠습니다. ... ...
음료,음료, 음료...이 중 어떤 음료수를 선택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건강 체크도 가능하다. 무게는 33g 으로 휴대성이 높다. 3. ‘음성 자막 변환 및 소리
알
림’ 구글이 2019년 출시했다. 인공지능이 음 성을 인식해 글자로 보여준다. 키보드를 활 용한 양방향 소통도 가능하다. 80개 이상 의 언어를 지원하며 경보음 등도 자막화할 수 있다 ...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아니라 이타적 행동이 주는 이득과 손실을 따져보는 ‘생태적 요인’도 무척 중요함을
알
수 있죠. 즉 아무리 근연도가 높더라도 ‘손실 대비 이득(C/B)’보다 작으면 이타적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이 요인으로 늙은 개미가 어린 일개미를 배려하는 이타적 행동의 이유를 설명해볼 수 있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