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런 위성을 정지궤도위성이라고 부른답니다. 오늘은 인공위성의 높이와 속도에 대해
알
아봤는데요. 한 번 발사한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해도 다시 수거할 수 없어 우주 쓰레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답니다! 우주 쓰레기를 청소하는 우주선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46쪽 매스미디어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Index·PHI)는 1.0이었는데 현재 지구의 PHI는 0.96으로 떨어졌죠.슐츠-마쿠흐 교수팀은 지금껏
알
려진 4000여 개의 외계행성 중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24개를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한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0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자, 이제 앞에서 소개한 공식에 파장과 주파수 값을 넣고 계산하면 빛의 속도를
알
수 있겠죠? 과학동아의 계산 결과는 3.7×108 m/s, 이론적으로 공기 중에서 빛의 속도는 3×108 m/s입니다. 근삿값이긴 해도 부엌에서 빛의 속도를 구하다니! 역시 전자레인지는 만능이네요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제한할 수 있습니다(공동체주의적 관점). 학생 F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 제조자가 AI
알
고리즘을 설계할 때 교통 법규를 준수하고 보행자를 해치지 않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것은 자유주의적 관점에 따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교사 D 맞습니다. 그리고 자율주행차 사고 시 제조자의 책임을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
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들여다보면 유전체 지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수의 목표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국내 임상의사들과 협력해 지도 제작에 필요한 정상조직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난관이 많다.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무한의 탑 속 AI의 경우 이용자의 실력에 맞춰 학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패턴을
알
아차릴 수 있지만, 비무 AI는 딥러닝을 통한 심층 학습으로 움직임이나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떤 규칙성도 없지. 다시 들을 수 있는 그리운 목소리2020년 2월 6일 방영된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제작팀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보면 원은 어떻게 회전하거나 반사해도 모양이 처음 모양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원은 한마디로 무한한 대칭을 갖는, 완전한 균형 그 자체인 셈이죠. 원의 회전 대칭과 단위원군2차원 도형의 두 가지 대칭인 회전 대칭과 반사 대칭 중에서 회전 대칭만을 모은 집합을 생각해 볼까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어요! Q 장래 희망은 무엇인가요? 왜 그런 꿈을 꾸게 됐는지 함께
알
려주세요~.저는 데니스 홍 박사님처럼 인류를 돕는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로봇은 재난 현장처럼 실제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위험한 곳에서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잖아요. 그리고 매년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극적으로 변하게 된다. 우리는 연못의 이런 변화 과정과 이에 대한 극지 생태계의 변화를
알
아보고자 했다. 부빙 위 청록색의 연못은 아름답게 보이긴 했지만, 얼마나 변화가 쉽고 크게 일어나는지도 깨달을 수 있었다.쇄빙선에는 수많은 측정 장비들 외에도 헬리콥터가 두 대 있다. 헬리콥터는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2차 방정식이 배경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아냈습니다. 이연주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센터 EU연구원은 “안테나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무엇이 물질에 대한 신호이고, 무엇이 노이즈인지 제대로 구분해내지 못했다는 뜻”이라며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