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하지만 이후 과학이 발전하면서 돌턴의 원자설도 수정돼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우선 원자는 더 작은 입자인 양성자, 전자, 중성자로 쪼갤 수 있어요. 또 같은 원자라도 질량이 다를 수 있고, 핵분열 등으로 다른 원자로 바뀌기도 한답니다 ... ...
- [과학뉴스] 요다 닮은 박쥐, 새로운 종으로 인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그 결과, 요다박쥐는 비슷한 종류의 다른 박쥐들과는 다른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었어요. 우선 보통 회갈색의 털을 가진 박쥐들과 달리, 요다박쥐는 노란빛을 띠는 갈색 털을 가지고 있어요. 또 다른 박쥐들에 비해 귀가 길고 뾰족했고, 등에는 갈색 줄이 길게 나 있지요.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완성된 탑을 분석해 그 비밀을 알아냈어요. 붉은 불개미가 탑을 쌓는 과정은 간단해요. 우선 선두에 나선 붉은 불개미는 발바닥의 끈적끈적한 액체를 이용해 탑의 뼈대를 세워요. 그 다음 수많은 붉은 불개미가 탑의 빈 공간을 채우지요. 이 과정이 끝나면 새로운 개미가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탑을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두 가지 기준으로 알 수 있어요. 최고 기온과 1년에 폭염이 발생하는 횟수로 판단하지요.우선 지구의 평균기온이 2014년부터 3년 연속으로 최고 기록을 경신해서 2016년에는 14.83℃까지 올랐어요. 이는 1880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수치랍니다. 이에 따라 폭염이 발생하는 날도 점차 늘어나고 있지요. ...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폭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하고 있지요.블로킹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트기류에 대해 알아야 해요. 북극 근처에서 지구를 뱅글뱅글 도는 바람인 제트기류는 북극과 적도의 큰 온도 차이 때문에 생겨요.그런데 만약 북극이 뜨거워지면 어떻게 될까요? 북극과 적도의 온도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들어 있지요. 즉, 이 피에서 병원균을 수집하면 전세계 전염병을 연구할 수 있는 거예요.우선 연구팀은 드론을 띄워 고해상도 카메라로 모기의 주요 서식지를 조사했어요. 서식지가 확인되면 로봇덫을 보내 모기를 채집했지요. 로봇덫은 모기를 유인하는 이산화 탄소를 배출해요. 덫에 곤충이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을 만나고, 태양에 가까워지다가 2024년 12월 19일에 태양과 가장 가까워질 예정이지요.우선 탐사선은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시속 72만 4200km의 빠른 속도로 태양을 향해 날아가요. 이 속도로 날아가면 3개월 만에 태양에 도착한답니다. 파커 솔라 프로브는 인간이 만든 가장 빠른 물체로 기록될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그마한 씨를 갖고 있어요. 씨앗이 제대로 생기지 못하게 돌연변이를 만들었거든요.우선 ‘콜히친’이라는 약물을 처리한 수박과 정상 수박을 교배시켜요. 그러면 염색체 수에 이상이 있는 자식 세대 수박이 만들어지지요. 일종의 돌연변이인 이 수박은 열매 안에서 씨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급이 중단됐다. 일본산 백신은 현지 생산량 감소와 국제기구를 통한 개발도상국 우선 납품의 이유로 공급이 끊겼다. 공인식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과장은 “2018년 상반기부터 덴마크산 피내용 BCG 백신이 공급될 계획”이라며 “피내용 BCG 백신의 추가 확보가 결정되면 신속히 안내할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각신경시스템의 구조를 토대로 뇌의 얼굴 인식 원리를 조심스럽게 추정하고 있다. 우선 눈 앞에 있는 얼굴을 보면서 형성된 시각정보는 ‘초기 시각 신경망’을 거쳐 대뇌피질의 후두엽에 있는 ‘일차 시각 피질(V1·primary visual cortex)’로 전달된다. ‘대처 착시’ 실험마거릿 대처 총리의 사진을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