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어떻게 발전할까요?스마트 콘택트렌즈만으로 바이오마커들을 최대한 많이, 그리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굳이 병원에 가서 종합검진을 받을 필요가 없어질 겁니다. 물론 아직은 당뇨나 녹내장 같은 일부 질병에 국한된 기술이긴 하지만, 필자를 포함한 많은 연구자가 ... ...
- 정교한 예측 돕는 숨은 숫자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따라서 가장 실제에 가깝게 예측하는 모형을 만드는 게 중요해요. 이때 모형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숨은 정보가 있다네요. 전파율(β)과 기본 감염 계수(R0)는 같은 전염병이라도 나라마다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환경에 맞는 적절한 값을 알아내 반영하는 것이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인 ‘자북극’과 지구의 자전축이 통과하는 ‘지리적 북극’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아요. 우리가 평소 이야기하는 북극은 지리적 북극이지만,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은 자북극이지요. 올해초,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지구의 자북극이 갈수록 빨리 움직이고 있다”는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평균수명이 2.1969811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다. 문제는 880초라는 숫자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 팀은 중성자의 수명이 878초라고 주장하고, 다른 팀은 888초라고 주장하고 있다. 겨우 10초 차이인데 뭐가 문제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측정 오차가 2~3초임을 고려하면 이 두 값은 절대 ...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잉지테크놀로지는 광둥성의 1692개 농장에서 돼지 16만8821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8% 정확도로 얼굴을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아프리카돼지열병 같은 전염병 확산을 최소화시킬 뿐 아니라, 지금보다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하고 번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현재 우리나라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에는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23만여 명의 범죄자(정확히는 구속피의자와 수형인)의 DNA가 등록돼 있다. 그래도 이 법이 제정된 이후 많은 미제사건이 해결됐다. 올해 9월 드디어 범인의 실체가 드러난 화성 연쇄살인 사건 역시 3, 4, 5, 7, 9차 사건의 증거물에서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론과 실험이 짝을 이뤄 완성됐을 때 수상 가능성이 커진다. 그래서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비발’도 중요하다. 가령 2013년 물리학상 수상자인 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1964년 이론적으로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고 이는 이후 표준모형과 함께 물리학계의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얻기 위해 형광 표지 물질을 처리한다. 문 교수는 “현재 이 기법으로 암세포의 식별 정확도를 93%까지 끌어 올렸다”며 “향후 실제 환자들의 암세포 데이터를 축적해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학습시키면 실제 암 진단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탐색 알고리듬’이에요.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찾아내느냐가 중요한 기술이죠. 예를 들어 어떤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내가 입력한 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고 일치해야 들어갈 수 있는데요. 몇백만 명이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내 정보를 ... ...
- [과학뉴스] 시민들이 밝혀낸 '스티브'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사진도 연구에 이용했지요. 이 자료를 분석하면 스티브가 언제, 어디에서 나타났는지 정확히 알 수 있거든요. 오로라는 태양에서 불어오는 바람인 태양풍에 들어있는 입자가 대기 중으로 흘러들어오면서 발생해요. 반면에 연구 결과, 스티브는 지구 상공 60km~1000km 구역인 전리층 안에 있는 하전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