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금방 녹아버려 그 형체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벤틀리는 먼저 자신이 갖고 있던 현미경에 카메라를 달아서 눈 결정을 찍을 수 있는 독창적인 장치를 만들어 냈다.하지만 이 장치를 써도 눈 결정의 모양은 좀처럼 잘 드러나지 않았다. 벤틀리는 주로 한낮에 태양 빛을 조명 삼아 사진을 찍었는데, 하얀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표현되는 화소가 16배로 늘어 더 많은 영상 데이터를 보낼 수 있어야 하고, 또 촬영하는 카메라의 화소도 16배 더 많아져야 하는 것처럼 바뀔 게 많아 보편화될 때까지 많은 기술이 필요하답니다.초고선명 TV를 말할 때 4K나 8K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화면을 구성하는 점이 가로로 4000개 또는 8000개나 ... ...
- 카메라 VS 디지털 카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있는 이미지센서를 가지고 있었고, 촬영된 사진은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됐답니다. 디지털카메라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해 줄게요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토양을 채집해 분석하고 있지요. 암석에 적외선 레이저를 쏘아 성분을 알 수 있는 화학카메라와 화성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는 방사선 측정 검출기, 환경 모니터링 장비 같은 각종 최첨단 장비가 저의 든든한 무기랍니다.자기소개도 그만! 지금 화성 상태나 알려 달라니까!아, 거 성질 급하시네. ... ...
- 우주에 울려 퍼지는 레이더 아리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아니에요. 저와 아리랑 2, 3호는 앞으로 서로를 보완하며 계속 지상을 지켜볼 거예요. 광학카메라의 관측 결과도 매우 중요하거든요. 또 2014년에는 적외선 영상을 찍을 수 있는 아리랑 3A호가 우주로 올라 올 예정이랍니다. 가시광선, 레이더, 적외선 영상이 만나면 우리나라도 미국이나 러시아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물체를 또렷이 보려면 그 물체의 상이 눈 안의 ‘망막’이라는 곳에 맺혀야 해. 망막은 카메라에서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 셈이지. 만약 물체의 상이 망막에 제대로 맺히지 않으면 물체는 희미하게 보이게 돼. 잠깐! 시력은 어떻게 측정할까?시력은 일정 거리 밖에서 시력검사판을 읽는 방법으로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번개연구실험실에서는 번개가 치는 순간을 1초당 1만 장 이상으로 찍을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번개에 대해 자세히 연구하고 있어요. 샤샤샥, 번개를 피하려면?보통 사람이 번개에 맞으면 약 80%가 목숨을 잃는대. 그래서 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낙뢰안전 가이드북’을 발행했어. ... ...
- 아빠, 절대 반칙운전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무게 50㎏ 크기로 고속도로 위 30~50m 높이에 떠 있을 예정이지요. 360° 회전하는 3630만 화소 카메라를 실어 차량 번호판까지 알아보는 것은 물론, 양방향을 동시에 관찰할 수도 있답니다. 단, 속도가 시속 80㎞ 정도로 느리기 때문에 시속 100㎞ 가까이 달리는 고속도로 차량을 계속 따라다니지는 못 해요 ... ...
- 종이 나라의, ‘오려라 공주’와 ‘풀치래 왕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다저저 왕자는 사실 오랜 동네친구였다. 썰렁홈즈를 초대해서 파티를 열고 싶어서 몰래카메라를 준비한 것. 썰렁홈즈는 뻘쭘했지만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먹이를 사냥하도록 훈련시키고 있어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연구원들은 수중 카메라와 스마트 기기, 음향기기를 이용해 밤낮 없이 돌고래 행동을 관찰하고있답니다. 돌고래들이 자연으로 돌아가 잘 살 수 있을지 예측하려면 행동 하나하나를 꼼꼼히 기록하고 연구해야 하거든요."제돌이가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