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91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상일 UNIST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용매와 함께 휘발되는 속도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며 “이 조합을 통해 박막의
표면
을 극도로 평탄하게 하면서도 치밀하고, 결정의 내부 결함을 최소로 하는 결정성이 매우 우수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의 공동교신저자인 신태주 UNIST 반도체 ... ...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정밀히 제어할 수 있는 ‘
표면
개시성장법’을 고안하고 약 0.3nm 두께의 초균일 껍질을 핵
표면
에 성장시켜 이론적 한계치에 근접한 97.3%의 발광 효율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임재훈 교수는 “이번 연구가 차세대 양자점 디스플레이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양자점 ... ...
[과기원은 지금] GIST, 수소발생 효율 향상시킨 니켈 화합물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기존 연구들은 새로운 소재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번 연구는 소재의
표면
개질만으로도 촉매의 성능 및 안정성을 충분히 향상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포스텍은 황동수 환경공학부 교수·홍유리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주립대 연구팀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박테리오파지를 형성하여 숙주인 세균 밖으로 나올 수 있음을 알아냈다. 박테리오파지
표면
에 있는 단백질은 세균내로 침입하지 않았지만 DNA만 세균으로 침입하면 완전한 박테리오파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DNA가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임이 확실했다. 이것으로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은 단백질이 ... ...
조류독감·코로나 1분 내 사멸 친환경 방역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빠르게 바이러스를 사멸시킨다. 인지질로 이뤄진 바이러스 세포막은
표면
에 양이온(양전하)과 음이온(음전하)으로 이뤄진 전하층을 갖고 있다. 연구진은 전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세포막을 빠르게 침투해 파괴할 수 있도록 비이온계의 천연 중성 계면활성제를 선정해 방역제로 활용했다. 실험 ... ...
'다누리'가 첫 촬영한 달
표면
...4일부터 본격 임무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다누리는 지난 4일부터 정상임무 운영에 착수했다. 올해 말까지 6개 탑재체로 달
표면
편광 영상 관측과 자기장, 방사선 관측 등 달 과학연구,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등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
달 먼지로 태양 가린다...우주로 눈돌리는 기후변화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구현할 방법은 없었다. 미국 유타대와 스미스소니언 연구진이 내놓은 아이디어는 달
표면
의 먼지를 태양을 향해 흩뿌려 차양막을 만드는 방안이다. 지구에서 먼지를 보급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달 먼지 고유의 특성이 차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결과를 컴퓨터 ... ...
텔로미어와 미토콘드리아 간 상호 작용이 암 예방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짧은 텔로미어에서 나오는 RNA 분자가 미토콘드리아 외부
표면
에서 독특한 방식으로 'ZBP1'과 'MAVS'로 불리는 면역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와 싸우는 것과 유사한 반응을 일으켜 암이 될 수 있는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 ...
해왕성 밖 ‘콰오아’서 고리 발견..."멀리 떨어진 가장 특이한 고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이유는 행성의 반지름 7개 이상의 거리에 고리가 놓여 있다는 점이다. 콰오아는
표면
에서 4023km 떨어진 곳에 고리를 두르고 있다. 이는 과학자들이 1100마일로 계산한 로슈 한계를 훨씬 뛰어넘는다. 빅 딜런 교수는 "이는 우리가 본 것 중 가장 특이한 고리로 고리 형성에 대한 기존 연구에 도전하는 ... ...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밀도 3배 향상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전사는 소자를 제조된 모기판에서 떼어내 원하는
표면
으로 이송해 조립하는 공정법이다. LED는 칩이 작아질수록 전사 위치 정확도와 성공률이 낮아져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에 한계가 있다. LED를 작은 칩 형태로 만들고 전사해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