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불소는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생성과정이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미국 인디애나대와 유타대 공동
연구
팀이 초신성 ... “중성미자가 없었다면 인류가 충치로 골머리를 앓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
는 ‘천문학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8월 10일 자에 실렸다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
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시간이었다”며 “
연구
원 생활은 내가 꿈꿔온 미래 그대로다”라고 말했다. 최 군은 최
연구
원의 노트에 “박사님은 제 롤모델이에요. 나중에 꼭 다시 봬요”라고 적었다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할 줄 몰랐다.이 : 나는 오래할 줄 알았다. 원래 수학자들이 독하다. 엄 : 이게 수학자들
연구
방식이다. 이러다가 해답을 찾으면 그게 바로 논문이 되는 거다.송 : 이 정도 했으면 독자들도 우리를 인정해줄 것 같다. 웃자고 시작한 일을 죽자고 달려드는 여러분이 무섭다. 이제 그만하고 저녁 먹으러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
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이다). 때맞춰 한국을 방문한 저자(이상희 미국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이 새로운 화석 ‘호모 날레디’에 대한 해설을 위해 언론 인터뷰에 나서야 했다.‘인류의 기원’은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가장 위에 있는 스티커층만 바꾸면 매일 모양도 바꿔 사용할 수 있어요.MIT 미디어
연구
소
연구
팀은 앞으로 더 얇은 네일오를 만들 예정이에요. 그래서 중국의 한 배터리 회사와 0.5mm 두께의 손톱크기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배터리가 작아지면 센서와 여러 가지 마이크로칩을 넣을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독립기념관장을 역임한 이문원 수당기념관장의 도움으로 2015년 7월 성남의 한국학 중앙
연구
소에서 여러 책 사이에 끼어 보관된 원본을 찾게 되었다. 이로서 100년여 동안 전설로만 내려오던 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선구자이상설이 쓴 는 총 13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연구
팀은 3D프린터로 쥐의 인공 갑상선을 인쇄해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연구
팀이 특별 제작한 조직에 세포를 층층이 쌓아 만들었다. 인공 갑상선이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보다 앞서 2013년 미국 프린스턴대 마이클 맥알파인박사팀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파를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
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발굴해 온전히 분리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연구
책임자인 장 미셸 클래버리
연구
원은 “아주 약간의 바이러스 입자만 있어도 숙주인 아메바를 감염시켜 병원균을 부활시킬 수 있다”며 최근 영구동토층에서 원유 등을 추출하는 사업이 활발한 데 대해 “조심하지 않으면 천연두 같은 위험한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NASA) 제트추진
연구
소 (JPL)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개념 혜성 탐사로봇 ‘헤지호그’의 모습을 9월 3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헤지호그는 우리 말로 ‘고슴도치’란 뜻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헤지호그는 실제로 모서리 여덟 군데에 본체를 보호하는 스파이크가 달려 있어 고슴도치처럼 생겼다. ... ...
이전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