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할 줄 몰랐다.이 : 나는 오래할 줄 알았다. 원래 수학자들이 독하다. 엄 : 이게 수학자들
연구
방식이다. 이러다가 해답을 찾으면 그게 바로 논문이 되는 거다.송 : 이 정도 했으면 독자들도 우리를 인정해줄 것 같다. 웃자고 시작한 일을 죽자고 달려드는 여러분이 무섭다. 이제 그만하고 저녁 먹으러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결국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한 속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악한 속성을 최대한 멀리하는 것이 ‘뇌’도 ‘나’도 행복해지는 길이 아닐까 ... ...
전통의 색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As) 성분이 있어 지금은 생산하지 않습니다.국립문화재
연구
소에서 작년부터 하고 있는
연구
는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단청 안료를 파악합니다. ‘우리의 색’을 보다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게 되길 기대합니다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여하고 있다”고 했다. 2013년 5월에 시작된
연구
는 약 4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가까운 미래엔 병사들이 가상현실에서 실전과 같은 훈련을 할 수 있을까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하는 종균은 원하는 맛의 김치를 만들기 위해 처음부터 넣는 유산균이다. 장
연구
원은 “종균은 김치의 유통 기한을 늘이고 맛을 좋게 하는 한편 특별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설명했다.“‘종가집’이라는 브랜드 김치는 꽤 오랫동안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제조 단계에서 종균을 ... ...
흔들흔들, 네팔 대지진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우리나라 시간으로 지난 4월 25일 오후 3시, 네팔이 마구 흔들리기 시작했어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 북서쪽 77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한 거예요. 도시에서 가까운 곳에서 강력한 지진이 일어난 만큼 땅이 심하게 흔들렸고,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어요. 5월 4일 기준으로 사망자가 약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가장 위에 있는 스티커층만 바꾸면 매일 모양도 바꿔 사용할 수 있어요.MIT 미디어
연구
소
연구
팀은 앞으로 더 얇은 네일오를 만들 예정이에요. 그래서 중국의 한 배터리 회사와 0.5mm 두께의 손톱크기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배터리가 작아지면 센서와 여러 가지 마이크로칩을 넣을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용해서 어떤 약골 유전자를 없앨지는 정해지지 않았어요. 앞으로 전세계 바나나
연구
자들을 모아 함께 찾아나갈 계획이랍니다.다행이야! 희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몸이 갑자기 나아진 느낌이 들어! 우리가 멸종 한다면 친구들도 더 이상 맛있는 바나나를 먹지 못하게 되겠지?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비상 모드를 발동하려면, 반응속도를 높이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
연구
원 미래항공우주기술팀장은 “현재는 1초에 20번, 즉 20Hz 수준으로 드론이 정보를 주고받지만 앞으로 드론에 탑재되는 소형 컴퓨터의 성능이 더 향상되면 1초에 최대 200번 수준까지 더 정밀한 계산이 가능해질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연구
팀은 3D프린터로 쥐의 인공 갑상선을 인쇄해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연구
팀이 특별 제작한 조직에 세포를 층층이 쌓아 만들었다. 인공 갑상선이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보다 앞서 2013년 미국 프린스턴대 마이클 맥알파인박사팀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파를 ... ...
이전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