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소석회(Ca(OH)₂)가 되면서 열이 발생한다. 그 결과 내부 온도가 200℃ 이상으로 높아진다.
미국
농업연구팀 가금류연구실 데이비드 스웨인 박사가 2007년 ‘식량생산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AI바이러스는 닭고기 100g을 기준으로 70℃에서 5.5초 안에 죽는다. 매립한 뒤 땅 속 온도는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거리를 이동해 겨울을 난다. 바로 이 나비가 50년 안에 절멸위기에 빠질 전망이다. 2003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비가 많이 내려 북미왕나비의 겨울 은신처인 오야멜전나무숲이 매우 습하고 추워질 것이다. 이 나비는 건조해야 겨울에 살아남을 수 있는데 ... ...
해조류가 스트레스 받으면 구름 낀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교수는 대형 갈조류인 켈프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날씨가 흐려진다는 연구 결과를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6일자에 발표했다.맥피건 교수팀은 심해에 사는 켈프가 많은 지역의 대기에는 다른 곳보다 산화요오드 농도가 높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켈프가 빛에 ... ...
비틀린 목성 고리, 비밀은 태양빛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고리가 비틀린 이유가 밝혀졌다. 목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9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보이저가 처음 발견했다.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인 ‘메티스’ 안쪽에 먼지와 암석 조각으로 이뤄진, 후광처럼 희미한 고리가 있고, 메티스의 공전 궤도 근처에 주(主) 고리가 있다. 마지막으로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발명으로 유명하다 21세 때 겐드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
의 초청을 받아 사진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발명했다측정눈금판의 길이 약 30cm 부분에 5℃의 온도 간격이 새겨져 있다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또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투입된 유럽의 탐사정 호이겐스의 위치를 정밀 추적하는 데도
미국
과 유럽의 VLBI 관측자료가 동원됐다.우리나라가 준비하고 있는 달 탐사계획에도 KVN의 활동성 은하핵 관측자료가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손 박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달 탐사 시 정밀추적에 필요한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것이 인간이 비슷한 크기의 다른 동물보다 오래 사는 이유라는 식이다.존 타일러 보너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 및 진화 생물학 명예 교수. 크기와 모양은 아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통찰을 한 뒤 생물의 크기에 대해 광범위한 자료를 조사해 이 책을 썼다. ‘한 생물학자의 인생: 비범한 과학시대의 ... ...
“우르르~, 쾅쾅!”화성의 눈사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60층이 넘을 정도여서 이번 눈사태가 꽤 큰 규모로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은 이번 사진이 화성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지 질 현상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소행성 아포피스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할까요?
미국
‘행성연구협회’가 개최한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선의 디자인 공모에서
미국
의 스페이스워크 엔지니어링사의‘포어사이트’가 선정되었습니다.소행성 아포피스는 2029년에 지구에서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가깝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때 궤도에 특정한 변화가 생길 경우 203 ... ...
전 세계 독감 진원지 동아시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런 환경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 바이러스는 북반구에 겨울이 찾아오면 유럽과
미국
으로 퍼져나간다. 그 뒤 남미까지 퍼져 나가며 지구순환을 마친다는 것.이 결과에 대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바이러스 전문가 게이지 후쿠다는 “정말 놀라운 논문”이라며 “독감의 피해를 줄이려면 ... ...
이전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