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9
흔들면 크기가 3~5mm인 알갱이가 생긴다. 알갱이들을 뜨겁게 데운 철판에 넣고 잘 섞으면
표면
이 풀처럼 변하면서 반투명한 ‘진주’가 된다. 버블 티나 빙수, 요거트에 넣는 타피오카 펄이다. 스파게티나 도넛을 만드는 밀가루의 25%를, 빵을 만드는 밀가루의 20%를 타피오카로 대체하면 좀 더 부드럽고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09
햇빛이 바다 깊은 곳까지 들어가 해수
표면
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해수
표면
의 온도와 심해의 온도의 차이가 감소하면 해수가 순환하는 패턴도 달라진다. 내니데시칸 박사는 “북태평양 아열대환류의 흐름이 변하면서 대기 중 공기의 흐름도 달라졌다”며 “태풍이 생길 만큼의 에너지가 ... ...
화려하게 춤출 때, 마음 전할 때 입는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09
발광다이오드가 달려 있다. 이 드레스를 입고 움직이면 움직임을 감지한 드레스가
표면
에 붙어 있는 발광다이오드로 빛을 발한다. 여러 가지 동작을 하거나 춤을 추면서 동작을 빨리하면 드레스의 빛이 더욱 밝아지거나 빠르게 깜빡거린다전문가들은 즐거움과 다양한 기능을 합한 스마트 의류에도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09
의해 나타나는 지
표면
회전 각속도의 두 배다. 논제에 의하면 위도 φ인 지역에서 지
표면
이 회전하는 각속도는 ωsinφ이므로, 행성 와도의 크기는 코리올리 인자와 같은 2ωsinφ이다. 2) 바람이 최초의 위치로부터 고위도 지방으로 비스듬히 불어 들어가면, 행성 와도의 크기가 증가한다. 공기 기둥의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09
기름 막을 되돌아 통과한 뒤 다시 공기 중으로 굴절해나간다. 이때 [공기-기름 막]의
표면
에서 반사된 또 다른 빛과 만나 겹쳐서 간섭을 일으킨다. 그런데 빛의 파장에 따라 겹쳐서 밝아지는 위치가 다르므로 간섭무늬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것이 간섭에 의한 분산현상이다.비누 막에 나타나는 무지개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09
것이다.달이 작아진다?!최근 미국의 한 연구팀은 달이 조금씩 줄고 있다고 주장했다. 달
표면
에서 발견한 절벽 모양의 단층을 조사한 결과, 10억 년 동안 달의 크기가 100m 줄었다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2 아름다운 한복 PART 3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09
열대바다보다 중위도 바다가 ‘핫 폿’인 셈이다. 이런 결과는 해양생물 다양성이 바다
표면
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알려준다.심해저 생물과 미생물 포함하면 수백만 종 훌쩍“과학자들이 200만 개의 생물종을 밝혀냈지만 이는 전체 생물 중 5분의 1일 뿐이다. 나머지 5분의 4는 바다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09
아니다. 가까이 있어 엄청나게 밝은 태양별이 떠오른다. 그 빛을 받아 행성 지구의
표면
이 서서히 드러난다. 8일 동안 밤하늘에 올라가 있던 몸과 마음이 꿈에서 깨어나듯 한발한발 땅으로 내려온다. 별 가득한 하늘에 더 머물고픈 생각이 발목을 잡는다. 하지만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 ...
베르누이 원리를 입증하려면?
과학동아
l
201009
----------------------------------------------------------------------------------------------------- 1) ⓐ에서 달
표면
에 설치한 반사경의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2) ⓑ의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3) 만약 월식이 시작되고 달의 중심 부분이 본 그림자에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9
오돌토돌하게 나 있는 미뢰 속에는 맛 세포가 들어 있다. 맛 분자 또는 맛 이온은 맛 세포
표면
에 달린 수용체에 붙거나 이온통로를 통해 맛 세포에 들어간다. 2가지 경로 모두 맛 세포를 자극시켜 맛 신호(맛을 전하는 활동전위 신호)를 생성한다.맛 신호는 맛 신경을 타고 뇌까지 전해진다. 뇌에서는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