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리"(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참새 같은 새들이 박씨를 발견했다면 떨어뜨리지 않고 맛있게 먹었을 거예요. 흥부가 다리를 고쳐 준 새가 제비였다는 사실이 정말 다행이죠?제비, 알고 보면 사람을 이용한다고?제비는 ‘ㅁ’ 자 또는 ‘ㄱ’ 자 모양의 전통가옥에 둥지틀기를 좋아해요. 마당 위로 뚫린 공간을 통해 둥지를 ... ...
-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7개의 관절로 이뤄졌고 길이가 2.5m다. NASA 존슨우주센터 론 디프틀러 박사는 “R2에 두 다리를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우주유영 등 여러 가지 위험하고 힘든 일을 R2가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막혀 7점에 그쳤다. 3위인 타르탄 레스큐의 로봇 ‘침프’는 두 팔을 달고 있지만 팔다리에 무한궤도(캐터필러)를 달아 탱크처럼 굴러서 이동한다. 넘어질 우려가 적고 튼튼하지만 굼뜨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었다. 오준호 교수는 “이런 로봇들은 모두 휴보에 비해 훨씬 많은 연구비를 투입해 개발한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바꿔놓기도 해요. 얕은 바다에서 살던 해양 생물은 하루 아침에 살 곳을 잃어버리니까요. 다리로 섬을 지탱하거나, 둥둥 띄워도 섬 아래쪽은 햇빛이 들지 않게 돼요. 그 결과 광합성을 하고 살아가던 해양 식물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요. 전문가들은 인공섬을 만들 때 환경에 미칠 영향을 반드시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거대한 피라미드 형태로 지어진 바푸온 사원도 계단 경사가 약 70°나 되지요. 후들거리는 다리를 붙들고 정상에 올라서면 다른 사원에서 보지 못한 숫자들을 볼 수 있답니다. 1/1, 1/2, 1/3, 1/4, 1/5, 1/6이나 26/28, 26/29, 26/30, 26/31과 같은 분수지요. 프랑스가 베트남 사이공에 세운 인문과학연구기관인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오감을 완벽하게 흉내 낼 수는 없다. 하지 만 뇌를 직접 자극하는 기술은 다르다. 팔과 다리에서 신경을 타고 척수로 들어간 감각신호는 시상하부 에 있는 후측배내측핵을 거쳐, 대뇌 피질의 좌․우측 섬엽에 도착한다. 만약 가상 신호가 이 경로 어딘가에 서 끼어들어간다면? 또는 아예 처음부터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재난에 대비해 교통을 설계하는 것이 얼 마나 중요한지 말해주는 사례”라며 “다리와 교차로 부근의 도로를 넓히면 정체가 비교적 덜해질 것”이라 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차량의 실시간 내비게이션 정 보를 지도에 입력해 교통 상황을 한 눈에 보여주는 새 로운 내비게이션도 제안했다. 3D ...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초속200m로 갈 수 있는 자전거가 없다. 만약 이런 자전거가 있다고 해도, 사람의 다리 힘으로는 그렇게 달릴 수 없다. 초속 40m로 탈 때보다 25배 이상의 힘이 필요한데, 몇 초 만에 몸 중심부 체온이 너무 많이 올라가 생존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꽤 그럴 듯한 답변이다.이뿐만이 아니다. 그는 ...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움직일 때 다리마다 힘이 들어가는 곳이 정해져 있습니다. 가고 싶은 방향이 정해지면 다리 8개 각각에 들어갈 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지요. 참, 이동 방향을 바꿀 땐 몸 방향을 바꾸지 않습니다. 반대로 몸의 방향을 바꿀 땐 이동 방향을 바꾸지 않고요.마지막으로, 옆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잘 지탱하는 덕분에 빠르게 달릴 수 있다. 특히 육식공룡은 큰 꼬리로 균형을 잡고 두 다리로 걸어 다녔다. 이런 특징 덕분에 공룡은 당시 다른 파충류에 비해 거대한 몸집을 가질 수 있었다. 생각보다 똑똑한 공룡의 탄생은 나비효과자이로스피어를 타고 돌아다니던 중, 드디어 인도미누스 렉스와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