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리"(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전환은 아직 어렵다.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거대한 거북임에도 불구하고, 유 선형의 어뢰 같은 몸매와 강력한 지느러미로 변한 앞 다리를 이용해 시속 33km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다. 육상이 아니라 바닷속이라니 뭔가 반칙 같은 기분이 들지만, 억울하면 한번 거북보다 빨리 헤엄쳐 보고 얘 기해 보자. 앤트맨오그리 토그리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거대한 피라미드 형태로 지어진 바푸온 사원도 계단 경사가 약 70°나 되지요. 후들거리는 다리를 붙들고 정상에 올라서면 다른 사원에서 보지 못한 숫자들을 볼 수 있답니다. 1/1, 1/2, 1/3, 1/4, 1/5, 1/6이나 26/28, 26/29, 26/30, 26/31과 같은 분수지요. 프랑스가 베트남 사이공에 세운 인문과학연구기관인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직 7~10년 정도 기다려야 하지만, 인공피부가 상용화된다면 화상을 당한 사람이나 팔, 다리가 없는 사람의 의수나 의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Q 의학과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해 보이는데그렇습니다. 연구하는 분야가 바이오메디컬이다 보니 의학분야와의 협업은 필수예요. 저도 박사과정 때 의학과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결과 양쪽 다리를 동시에 젓는 것보다 30% 이상 효율적이라는 게 밝혀졌습니다. 또한 헤엄다리에서 만든 힘을 꼬리로 전달하는 것보다, 머리로 전달하는 것이 적게는 300%에서 많게는 550%까지 효율적이라고 하더라고요. 아무래도 전 수학적인 감각을 타고 났나 봐요(으쓱)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사고로 73명이 다치고 2명이 목숨을 잃고 말았지요(2월 12일 기준). 목격자에 따르면 당시 다리 위는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어요. 도대체 영종대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던 걸까요?영종대교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인천 서쪽 육지를 연결하는 최단 통로예요. 그래서 공항을 오가는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균형을 잡기 위한 방향타 구실을 했을 것이다. 원시 조류로 진화를 거듭할수록 성가신 뒷다리 깃털은 없어지고 긴 꼬리는 점점 짧아진 반면, 앞날개는 점점 강력해지면서 활공이 아니라 날갯짓을 이용한 비행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조류의 독특한 생식과 성장 방식 역시 진화된 수각류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사도가 나타난다면, 우린 에반게리온(이하 에바)을 발진시킬 수 있을까.부드러운 팔과 다리에 어울리는 갑옷은?에바는 인조인간이다. 움직임이며 생김새가 사람과 매우 비슷하다. 눈과 이, 갈비뼈, 척추, 피, 내장까지, 있을 건 다 있다. 그런데 겉으로 보기엔 일반 로봇처럼 보인다. 살을 둘러싸고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위해 버가트 교수 연구실의 마스코트였던 ‘모세(Moses)’라는 애칭의 젊은 암컷 붉은다리거북이 나섰다. 연구팀은 모세가 미로 내에 각각 떨어져 설치된 8개의 먹이를 길을 잃지 않고 전부 먹을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모세는 자신이 지나갔던 길을 정확하게 기억해가면서 8개의 먹이를 모두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전자파 인체흡수율(SAR)을 살펴야 한다. 체중 1kg당 컴퓨터 대기전력 수준인 1.6W(몸통)~4W(팔다리) 이상 흡수되면 안 된다. 이보다 많은 전자파가 특정 부위에 흡수되면 온도가 1℃ 넘게 오른다. 이 경우 면역계가 그 부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을 시작한다. “저희 연구팀도 전자파 인체흡수율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