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d라이브러리
"
비행기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빙하야, 더이상 울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것 같다고? 탐사를 떠나기 전에는 나도 같은 생각이었어. 하지만 북극에 도착하기 직전
비행기
에서 내려다 본 빙하의 모습은 뭔가 이상했어. 날카로운 무언가로 긁어 낸 듯이 한 가운데가 깊이 파여져 있는 빙하가 보이니? 무엇이 빙하에 이런‘ 상처’ 를 남긴 걸까?1년 만에 얼음이 모두 녹아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일반 번개보다 1000배나 규모가 큰데다 구름 위 높은 층에서 치기 때문에 그 곳을 지나는
비행기
조종사들에게 위험하다. 분수처럼 솟는 불기둥이나 빨간 불덩이처럼 보이는 메가번개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잠자는 넙치 물 없이 미국 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잡은 넙치를 살아 있는 채로 미국으로 보내려면 물에 담아
비행기
나 배로 옮겨야 해요. 이 때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고 돈도 많이 들어요. 한국해양연구원의 김완수 박사팀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넙치를 잠재운 뒤 운송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넙치는 15℃의 물에서 잘 사는데 물의 온도를 3~5℃로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그는 자신이 개발한 글라이더를 타고 처음으로 활공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엔진을 단
비행기
를 만들기 위해 1896년 글라이더를 타고 시험비행하다 강풍을 만나 추락해 사망했다.1959년 8월 11일우장춘 박사 사망일본에서 태어나 식물육종학을 공부한 우장춘 박사는 해방 이후 정부의 부름을 받고 ... ...
켁! 기절 시키는 게 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어른들은 얼마나 더 무서운 건가요?”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경기를 마치고 서울행
비행기
에 오를 때만 해도 헐크호관은 기분이 무척 좋았다. 먼 나라의 귀여운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아‘여름방학 특별 프로레슬링’에 초청되다니! 특히 한국은 태권도의 나라라고 하니 뭔가 통하는 게 있을 것 ... ...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이제 주변을 한번 둘러보렴. 연한 갈색과 분홍색의 구름바다를 볼 수 있을 거야.
비행기
를 타 본 친구들이라면 상상할 수 있겠지? 가끔씩 암모니아 구름이 기구 옆을 스쳐 지나가기도 해. 지평선까지의 거리는 수천 킬로미터나 된단다. 마치 우리가 개미처럼 줄어든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거야. 시간이 ... ...
1시간 30분의 짜릿한 우주 관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어떻게 생겼는지, 우주 관광에서는 뭘 볼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아요? 일반
비행기
와 비슷하게 생겼다는데 바로 가서 만나 봤어요.안녕하세요? 언제부터 우주 관광을 떠날 수 있어요?듣던 대로 성격이 급하시군요. 저는 아직 진짜로 만들어진 게 아니에요. 모형으로 나온 거죠. 유럽의 항공기 회사인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다금바리라 불러. 하지만 수줍음이 많아 바위굴에 콕 박혀 살아. 울진(관광형, 동해)배나
비행기
로 만든 멋진 어초 사이로 헤엄치는 우리가 보고 싶으면 울진으로 와! 동해는 해저에 차가운 물이 흐르기 때문에 늘 물고기가 머물기는 어려워. 하지만 물이 맑아 스쿠버다이빙을 하기 좋단다. 다양한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휘감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제트기류 가까이에서는 풍속의 변화가 아주 심하다 이 때문에
비행기
가 높은 고도로 올라가면 이 제트기류의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흔들리거나 또는 그것의 흐름을 따라 쉽게 운항할 수도 있다 또 제트기류는 그 안에 들어온 물질을 빠르게 이동시키기 때문에 대기 중의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비행속도 또는 전진속도가 0이라도 공기를 흡입·압축해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지만,
비행기
의 속도가 빨라지면 램압력(고속의 공기가 물체에 부딪침으로써 높아지는 압력)이 높아져 나중에는 공기압축기가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된다 그러나 램제트에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도관(duct) 자체를 좁게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