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상"(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냄새를 묻혀오거든요. 엄마가 말했던 병원 냄새일까, 할머니가 살았다던 숲 냄새일까. 상상의 나래를 펼치죠. 혹시나 더 알 수 있을까 싶어 손을 살짝 핥을 때도 있는데, 짜기만 해요. 앗, 혹시 이것이 바다 맛?(동공지진)그러고 보니 철 없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손님한테 씁쓸한 풋내가 나길래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B-스플라인 함수는 여러 개의 점을 기준으로 매끄러운 곡선을 만들 때 쓰는 함수다. 먼저 상상한 모양에 따라 적당히 ‘기준점’을 잡아 곡선을 만든다. 예를들면 아래에 보이는 ➊~➎번 점이 ‘기준점’이다. 양 끝점만 곡선 위에 있고, 나머지 점은 곳곳에 배치해 곡선의 모양을 잡는다. 이를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도형은 196,883차원에서 볼 수 있어요. 이 도형을 발견한 피셔조차도 어떤 모양인지 상상이 가지 않아 ‘몬스터’라는 이름을 붙여줬어요.➊ 대칭축 오브젝트와 연필 오브젝트, 글상자 오브젝트를 3개 만들어요. 글상자의 이름을 각각 ‘좌우 대칭’, ‘상하 대칭’, ‘설명’으로 변경해요.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로 충돌하면서 움직이는 것이다. 전자 하나 하나의 움직임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정확한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운동을 한다니! 당시의 일류 물리학자들이 이 기묘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전했고, 로버트 러플린이란 걸출한 젊은 이론가가 혜성처럼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알고리즘이 스스로 학습해서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팸의 양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이렇게 경험을 토대로 어떤 사건의 확률을 추론할 때 유용한 원리가 바로 ‘베이즈의 원리’입니다. 1701년경에 영국에서 태어난 토머스 베이즈가 확률론에 대해 쓴 원고에서 처음 발견돼 ... ...
- [과학뉴스] 노벨화학상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0분의 1만큼 작은 분자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과학자 세 사람에게 수여됐다.분자기계는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으며 ... 일정하게 움직인다. 분자로 만든 자동차, 분자로 만든 엘리베이터, 분자로 만든 근육처럼 미시세계에서 상상을 실현했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둥그렇게 둘러싸인 부분이 칙술루브 분화구다. 아래는 이 결과를 토대로 그린 상상도다. 이 가설은 운석충돌설의 확장판이다. 운석이 충돌한 곳이 유카탄반도 중에서도 유전지대였을 것이라는 게 이 가설의 핵심이다. 기존의 운석충돌설에서는 운석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유황성분이 성층권까지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행기보다 훨씬 빠른 열차도 개발 중이라고? 무려 시속 1200km라고? 믿을 수가 없는 걸? 최근 미국에서는 비행기보다 약 1.5배 빠른 시속 120 ... 수 있어요. 아마 10년 이내에 튜브 속을 초고속으로 달리는 열차를 탈 수 있을 거예요.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기술,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답니다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생소하다. 실제 있는 중학교는 아니다. 이 중학교는 상상 속의 학교다. 이름만 봐서는 학교 여기저기서 수학이 튀어나올 것만 같은데…. 제1회 신입생으로 입학한 주인공 ‘노을’과 친구들이 비밀조직 ‘제로’를 만나면서 겪는 모험 이야기가 펼쳐진다.오늘은 수학특성화중학교의 입학식 날이다.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여긴다. 우리 인류가 한 번도 외계인과 접촉한 적이 없어서 연구를 하는 데에 상상력이 개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인류라는 생명체가 지구에서 어떻게 처음 생겨나 진화해 왔는지도 다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 발생 과정이 인류보다 훨씬 다양할 외계인을 연구하는 데에 제약이 많다. 게다가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