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콜레라균이 묻어 있는 플랑크톤이 생선의 아가미 부분에 직접 닿기 때문이라는
주장
입니다. 실제로 아가미는 세균감염에 취약합니다.열대어 키우는 분들은 ‘아가미병’에 대해 한 번쯤을 들어봤을 겁니다. 하지만 익혀도 소용없다는 말은 도저히 근거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아마도 콜레라균이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스미스는 동물들의 이타적 행동은 집단 선택이 아니라 혈연 선택으로 잘 설명된다고
주장
했다.자기 자신이 아니라 다른 이웃의 생존을 돕는 형질을 진화시킬 수 있는 과정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나는 이들을 각각 혈연 선택과 집단 선택이라고 부르겠다. 혈연 선택은 할데인(1955)과 해밀턴(1963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핵무기 관제소를 장악하려 시도했어요. 핵 제어권을 독점해서 멸망을 막아보겠다는
주장
이었지만 우리는 그게 잘못됐다는 판결을 내렸고, 집행관이 그들을 모두 회수했어요.”윤환은 그 집행관이 자신이라는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 의견은 다수가 모으지만 죄를 짓는 사람의 수를 줄이기 위해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막기 위해 벽돌을 두껍게 쌓는다는 이유였다. 물이 있어 고립 시 버티기가 용이하다는
주장
도 꽤 설득력이 있었다. 하지만 일본 도쿄도가 발행한 방재 매뉴얼책 ‘도쿄방재’에서는 지진 발생시 욕실에서 얼른 대피하라고 나와 있다. 유리와 같이 깨질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지진이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전형적인 후행지표이며, 따라서 결코 현재나 미래의 과학수준을 알려주지 않는다는
주장
도 있다. 일리 있다. 하지만 대중에게 과학 정보를 전파하는 게 일인 과학기자 입장에서는 최고급 과학 정보가 뉴스 맨 앞에 나올 수 있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연중 과학행사라는 점을 외면하기 어렵다.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합시다.이라는 점이므로, 상금의 절반인 250달러를 두 수학자에게 줘야 한다고
주장
했습니다. 그만큼 구스와 카츠의 업적이 뛰어나다는 뜻이지요. 구스와 카츠가 과연 250달러 상금을 받았는지 궁금하네요.이 성과로 구스와 카츠는 지난해 클레이 연구상을 타기도 했습니다. 2000년 밀레니엄 문제라고 ... ...
[재미] 10화 거북과 달리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주장
에 반박하기 어려웠다. 단과 마찬가지로 제논이 살던 시대의 사람들은 제논이
주장
이 틀렸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증명해 내지 못했다. 그래서 제논의 문제를 결론이 모순됐다는 의미로 ‘역설’이라고 표현했다.“그렇게 비난만 하면서 나를 설득할 수 있는 증명은 해내지 못하네요. 틀렸다는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심지어 기도에도 분포한다. 일부 과학자는 혀보다 내장에 더 많은미각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
한다. 우리가 입으로 넣는 음식물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일부 유리된 당과 아미노산만 느끼는데, 내장 기관에서는 음식물이 분해돼 나온 포도당과 지방산, 아미노산 등 음식 분자를 느껴야만 하기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증거를 찾지 못했다.최근에는 피질이 백질보다 비교적 빨리 자라 주름이 생긴다는
주장
도 나왔다. 핀란드 이위베스퀼레대 물리나노과학센터 투오마스 탈리넨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프랑스 티몬대학병원 나딘 지라르 신경방사선학과장 연구팀은 뇌와 특성이 비슷한 뇌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상태에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본인이 사진 속 주인공이라고
주장
하는 사람도 여럿이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무사히 진짜를 가려냈다. 힌트는 홍채였다.우주에서 하나 뿐인 홍채삼성전자가 새로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에 홍채인식 기술이 탑재돼 화제다.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