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국내의 모든 문제를 이방인에게 돌리며 국경을 닫고 우리만 잘 살아보자는 극단적인
주장
을 하는 한 정치인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다. 그런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정말로 무섭고 두려워해야 할 대상은 어쩌면 생각보다 가까이 있을지 모른다. 어려울 때일수록 공포의 이점을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뒤 고양이가 살아있는지를 묻는 이 사고실험으로 슈뢰딩거는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주장
했다. 실제로는 할 수 없는 실험이다. 사고실험★ 사물의 실체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머릿속으로 하는 가상의 실험.세미콜론은 컴퓨터공학과, 또는 전산과를 뜻한다.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의 언어는 컴퓨터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적이 있으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때문에 원작이 가진 콘텐츠의 힘이 성공요인이라는
주장
이 힘을 받고 있다.이제는 말할 수 있다 “나 덕후야”한국에서는 오래전부터 포켓몬을 주제로 한 닌텐도 게임이 인기였다. 매 시리즈마다 20만 장 이상을 팔아치울 정도로 흥행했지만 지금까지 모습을 드러낼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무한은 신의 전능을 나타내는 상징이었고, 여기에 한계(예를 들어 크기)가 있다는
주장
은 신에 대한 도전이었습니다. 많은 신학자와 철학자들이 칸토어를 공격했습니다.푸앵카레의 추측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칸토어가 사용한 집합론의 허점을 공격했는데요. 당시는 ... ...
[과학뉴스] 2099년, 아델리펭귄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사는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2099년에는 지금의 3분의1 밖에 남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
이 나왔다. 미국 델라웨어대 연구팀은 온난화 때문에 남극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29일자에 발표했다.아델리펭귄은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륙지각에서 이어지는 부분에 많이 묻혀 있을 것이다!). 북극 연안국들은 서로가
주장
하는 법적 대륙붕이 겹치더라도 일단 심사를 받겠다는 약속을 했다. 한 나라라도 이의를 제기해 북극해가 분쟁 지역이 되면 심사가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극지의 심장은 ... ...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하늘과 바다를 파란색으로 느끼는 것은 어려서부터 교육을 그렇게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
했다.그런데 고대 이집트에서는 유일하게 기원전 2000년부터 파랑을 사용했다. 당시 그려진 벽화나 피라미드 속 유물에서 파란색이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고대 이집트에서 염색 문화가 유행하면서 안료가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쪽의 논리도 만만찮습니다. 무엇보다 미군의 결과를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주장
입니다. 괌의 레이더는 바다를 향해 있지만, 국내에 배치될 레이더는 주민들의 머리 위로 지나갈 가능성이 크거든요. 전자파를 직접 쬐는 게 아니라지만,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줄지 불확실합니다.그러나 ... ...
[과학뉴스] 여학생이 STEM 떠나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남학생만큼 끌어올린다면, STEM 분야 여성인력이 지금보다 75% 더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7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빛이 거울에 반사될 때 최적의 경로는 입사각의 크기와 반사각의 크기가 같을 때라고
주장
하며 반사의 법칙을 증명했다.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할 때 기하학적으로 가장 짧은 거리는 어느 한쪽으로 굽지 않고 곧게 뻗은 직선거리다. 그렇다면 빛이 거울에 반사돼 꺾일 때는 어떻게 가장 짧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