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뉴스
"
세균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콩 알레르기 막는 ‘착한’ 장내 미생물은?
2014.08.26
나오지 않은 것이다. 연구팀이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쥐에게 클로스트리디아 속
세균
을 먹이고 장에 안착시키자 땅콩을 먹어도 알레르기 반응이 확연히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쥐의 장 속에 사는 클로스트리디아가 면역 신호물질인 인터루킨 22(IL-22)를 많이 생산해 알레르기 반응을 막는다고 ... ...
가수 윤종신 앓는 '크론병' 치료제 부작용 원인 찾았다
2014.08.11
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크론병은 우리 몸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
에 대해 면역계가 과도하게 반응한 탓에 발생한다는 정도로 알려졌을 뿐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동안 과도한 면역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제가 치료제로 쓰였지만 환자에 따라 ... ...
병원서 악수는 절대 금물? 가장 위생적인 인사법은 ‘이것’
동아일보
l
2014.07.30
심각성을 보여주기 위해 진행됐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손은 환자에게 잠재적으로 유해한
세균
을 전파할 수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의료관련감염(병원감염)으로 미국에서 매년 약 7만5000명의 환자가 사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의학협회저널은 병원, 진료소 등 의료시설에 '당신과 주위 ... ...
[유병언 미스터리] 사망원인 정말 알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27
그리 빨리 손상되지 않는다. 벌레 등의 접근이 차단된, 땅 속에 묻어둔 시신은 온전히
세균
의 부패만을 기대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는 백골화 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7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거 믿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국과수의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신이 정말 유 ... ...
지금도 연금술을 볼 수 있다고?
과학동아
l
2014.07.23
먹이로 삼아 생활하며 환경을 정화하고 자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 슈와넬라
세균
이 자신의 세포 안팎에 중금속 '텔레륨'을 모아 놓은 모습. - 한국연구재단 제공 허호길 GIST 환경공학부 교수는 25일 오후 6시 30분 대구 중앙도서관에서 ‘연금술사 미생물’이라는 주제로 이와 같은 ... ...
마셜 박사가 헬리코박터균을 마신 이유
과학동아
l
2014.07.20
밝힌 덕분에 수백, 수천 만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강산성인 위액 때문에 위 속에는
세균
이 살 수 없다는 게 정설이었지만 배리 마셜 박사는 스스로 헬리코박터균을 마셔 이를 반박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수많은 과학자의 희생과 헌신에 저절로 경의를 표하게 된다. 그들이 없었다면 인류는 ... ...
미니돼지, 독성시험 새 모델로 낙점
과학동아
l
2014.07.08
크게 늘었다. 신천철 안전성연 선임본부장은 “돼지는 물질의 독성뿐만 아니라 장내
세균
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어 물질의 생체 유해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안전성연은 독성시험에 사용하는 실험동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독성평가기술도 개발하고 ... ...
“항생제내성균 빨리 진단할 수 있는 비결은…”
과학동아
l
2014.07.08
키트를 이용해
세균
의 정체를 빨리 알아내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또 있다. 위험한
세균
의 경우, 감염 환자를 빨리 격리시키면 병원 내 감염을 줄일 수 있다. 아데소칸 대표는 “미국에서 지금까지 발생한 병원 내 감염은 400만 건이 넘고, 이중 3만7000명은 사망했다”며 “키트를 사용하면 병원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있었다. 그런데 책을 보니 발효종은 단순히 천연효모가 아니라 효모와 수십 가지
세균
이 섞여있는 상태라는 것. 그 결과 발효종으로 발효한 빵과 이스트로 발효한 빵은 풍미와 식감이 완전히 다르다고 한다. 과학자들이 이런 사실을 깨달은 건 1970년으로 이듬해 학술지 ‘응용 미생물학’에 ... ...
‘신약의 조건’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27
공략한 덕분이다. 자이복스의 타깃은
세균
의 리보솜. 자이복스는 이 리보솜에 붙어
세균
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해 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만든다. 김 단장은 “신약 타깃을 한번 발굴하면 여러 종류의 신약을 빠른 시일 안에 만들기 유리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약 타깃을 발굴하는 일은 쉽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